비례 논의한 전원위…경기 국회의원들 “늘리자 vs 없애자” 시각차

10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전원위원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이탄희 의원이 첫번째 토론자로 나와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인천지역 국회의원들이 10일 열린 국회 전원위원회에서 비례대표제에 대한 선명한 시각차를 보였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장에서 선거구제 개편을 위한 전원위를 개최했다. 이날 주제는 비례대표제로, 비례대표 확대를 주장한 쪽은 더불어민주당이다. 

 

민주당 윤호중 국회의원(구리)은 대표성과 비례성 제고를 위해 “비례대표 국회의원 비율은 최소 국회의원 총 정수의 4분의 1, 75석은 돼야 비수도권의 의석비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면서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제안한 7석이라도 줄여서 비례대표 의석을 늘리자”고 주장했다.

 

같은 당 홍영표 의원(인천 부평을)도 “다양성 확보를 위해 비례대표 확대가 필요하다”면서 “법으로 의원 세비삭감, 보좌인력과 예산을 동결하는 등 국회가 특권을 내려놓는 개정안을 만들어 국민들께 이해를 구하자”고 제안했다.

 

비례대표 확대에 대해 국민의힘은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윤상현 의원(인천 동·미추홀을)은 “본래의 취지를 상실한 비례대표제는 망국적인 정치 양극화를 부추기고 심화시키는 첨병 역할을 하는 존재로 전락했다”면서 “비례대표 47석을 지역구 253석과 합쳐 중선거구제 도입을 생각해 보자”고 주장했다.

 

부산을 지역구로 둔 이헌승 의원도 “국회의원 정수는 300명 동결 내지 축소해야 한다. 현행 연동형 비례대표 선출 방식은 병립형비례대표제로 바꾸거나, 또는 비례대표제 자체가 폐지돼야 한다”면서 반대 의견을 냈다.

 

정의당은 비례대표제 등 선거제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뒀다. 정의당 심상정 의원(고양갑)은 “선거제 개혁의 핵심은 비례대표의 숫자를 확대하고 정당 지지율과 의석수를 수렴하는 것이다”면서도 “현행제도보다 비례성, 대표성이 높다면 어떤 제도든 열어두고 검토할 것”이라는 입장을 취했다.

 

다음 전원위는 지역구 선거를 주제로 1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리고, 여야 의원 28명이 발언대에 오른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