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연 3.5% 유지…두 차례 연속 동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연 3.5%인 기준금리를 조정 없이 2번 연속 동결했다. 물가 상승세가 둔화되고, 경기 하강 우려가 커지는 점 등이 동결의 배경이란 분석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11일 오전 9시부터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3.50% 수준으로 동결했다. 앞서 금통위는 지난해 4월부터 7회 연속 기준금리를 올리다 지난 2월 경기둔화 우려로 기준금리 인상을 멈춘 바 있다. 2월에 이은 두 차례 연속 동결로 1월13일 이후 3개월 가까이 기준금리가 3.50%로 유지되면서, 시장에서는 최종금리를 3.50%로 보는 시각이 굳어지는 분위기다.

 

금통위가 다시 동결을 결정한 데는 최근 다소 안정된 물가 상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110.56)는 작년 같은 달보다 4.2% 올랐다. 상승률이 2월(4.8%)보다 0.6%포인트 떨어졌고, 작년 3월(4.1%) 이후 1년 만에 가장 낮았다.

 

또 경기 하강 우려가 커지는 점도 동결 배경으로 꼽히는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수출 부진 등에 이미 지난해 4분기 마이너스(-0.4%)로 돌아서 올해 1분기 반등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1∼2월 경상수지는 11년 만에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고, 통관기준 무역수지도 3월(-46억2천만달러)까지 13개월째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금통위가 이날 기준금리 동결을 선택하면서, 사실상 금리 인상을 마무리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상반기께 금통위가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전망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다만 미국과의 기준금리(정책금리) 격차 확대에 따른 추가 인상 여지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금통위가 이날 기준금리를 다시 동결하면서 미국과 격차는 1.50%포인트(한국 3.50%·미국 4.75∼5.00%)로 유지됐다. 이는 2000년 10월(1.50%포인트) 이후 가장 큰 금리 역전 폭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