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소각장 건립 못해 쓰레기 대란 우려…시의회, 대안 찾는 토론회

인천시의회와 가톨릭환경연대 등이 13일 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 회의실에서 ‘광역 자원순환센터(소각장) 설립을 위한 대안 모색 토론회’를 했다. 정해권 시의회 산업경제위원장(왼쪽에서 여섯번째)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박귀빈기자

 

인천지역 4개 권역의 광역 자원순환센터(소각장) 건립이 늦어지면서 인천에 쓰레기 대란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인천시의회는 13일 산업경제위원회 회의실에서 ‘광역 자원순환센터(소각장) 건립을 위한 대안 모색 토론회’를 했다.

 

이날 박수영 ㈔한국화학안전협회 교수는 앞으로의 소각장 건립을 위한 행정절차 등을 감안하면 앞으로 인천의 쓰레기 대란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오는 2026년 생활쓰레기 직매립 금지까지 남은 기간을 역산한 결과다.

 

박 교수는 “소각장 건립을 위한 각종 행정절차와 시공 등만 해도 최소 4년 이상 걸리는 만큼 2026년까지 맞추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라고 했다. 이어 “인천시와 각 군·구가 소각장을 유해시설이 아닌 지역의 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홍보하고 주민협의체와 협의해 주민지원기금 등 인센티브를 주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가정에서부터 불연성 폐기물 분리수거가 이뤄져 소각용량 및 오염물질 발생을 줄이도록 시 등이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박상문 지역문화네트워크 공동대표가 좌장을 맡은 토론회에서는 각 군·구가 추진해야 할 구체적인 방안도 나왔다. 최진형 가톨릭환경연대 선임대표는 “부평·계양구는 협상카드를 찾은 뒤 부천시와 협상을 다시 해야 한다”며 “미추홀·연수·남동구는 합동으로 송도 지역 주민들을 찾아가 설득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중·동구 및 옹진군에 대해서는 입지선정위원회의 입지를 최종 결정으로 받아들이고, 서구·강화군은 청라소각장 증설 및 강화도 소각장 재가동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김달호 인천시 자원순환과장은 “행정적인 절차를 포함해 소각장 설립이 최대한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협력하고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어 “소각장 설립도 필요하지만 발생량 자체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밖에도 이날 군수·구청장 등이 정치적인 이유 등을 내세워 광역 소각장을 반대한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정해권 시의회 산업경제위원장은 “토론회에서 나오는 합리적인 대안을 최대한 집행부가 정책에 반영토록 하겠다”고 했다. 이어 “집행부 및 주민 등과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이끌어내 쓰레기 대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시의회의 정해권 산업경제위원장, 김대중 산업경제위원회 부위원장, 이장수 남동구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선임회장, 이지용 경기일보 기자 등이 참석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