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4개 권역의 광역 자원순환센터(소각장) 건립이 늦어지면서 인천에 쓰레기 대란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인천시의회는 13일 산업경제위원회 회의실에서 ‘광역 자원순환센터(소각장) 건립을 위한 대안 모색 토론회’를 했다.
이날 박수영 ㈔한국화학안전협회 교수는 앞으로의 소각장 건립을 위한 행정절차 등을 감안하면 앞으로 인천의 쓰레기 대란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오는 2026년 생활쓰레기 직매립 금지까지 남은 기간을 역산한 결과다.
박 교수는 “소각장 건립을 위한 각종 행정절차와 시공 등만 해도 최소 4년 이상 걸리는 만큼 2026년까지 맞추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라고 했다. 이어 “인천시와 각 군·구가 소각장을 유해시설이 아닌 지역의 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홍보하고 주민협의체와 협의해 주민지원기금 등 인센티브를 주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가정에서부터 불연성 폐기물 분리수거가 이뤄져 소각용량 및 오염물질 발생을 줄이도록 시 등이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박상문 지역문화네트워크 공동대표가 좌장을 맡은 토론회에서는 각 군·구가 추진해야 할 구체적인 방안도 나왔다. 최진형 가톨릭환경연대 선임대표는 “부평·계양구는 협상카드를 찾은 뒤 부천시와 협상을 다시 해야 한다”며 “미추홀·연수·남동구는 합동으로 송도 지역 주민들을 찾아가 설득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중·동구 및 옹진군에 대해서는 입지선정위원회의 입지를 최종 결정으로 받아들이고, 서구·강화군은 청라소각장 증설 및 강화도 소각장 재가동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김달호 인천시 자원순환과장은 “행정적인 절차를 포함해 소각장 설립이 최대한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협력하고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어 “소각장 설립도 필요하지만 발생량 자체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밖에도 이날 군수·구청장 등이 정치적인 이유 등을 내세워 광역 소각장을 반대한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정해권 시의회 산업경제위원장은 “토론회에서 나오는 합리적인 대안을 최대한 집행부가 정책에 반영토록 하겠다”고 했다. 이어 “집행부 및 주민 등과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이끌어내 쓰레기 대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시의회의 정해권 산업경제위원장, 김대중 산업경제위원회 부위원장, 이장수 남동구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선임회장, 이지용 경기일보 기자 등이 참석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