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식중독 의심 신고’ 지난해 대비 4.5배...원인은?

경기도내 ‘식중독 의심 환자’가 지난해보다 4.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도 관계자가 한 식당 내부 살피는 모습. 경기도 제공

 

경기도내 ‘식중독 의심 환자’가 지난해보다 4.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경기도에 따르면 올해 도내 1~3월 식중독 의심 신고된 환자는 355명(30건)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의심 신고된 환자 79명보다 4.5배 증가한 수치다.

 

주요 발생 장소는 어린이집이 13명(38%)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학교 131명(38%), 유치원 27명(8%), 음식점 25명(7%) 순이었다. 또 최근 5년간 봄철 식중독 발병원인균을 살펴보면 노로바이러스 33%, 살모넬라 26%, 퍼프리젠스 16% 순이었다.

 

식중독 증상으로는 음식 섭취 후 구토와 설사 복통, 복통을 동반하며 3~5일 지속되는 설사 등이 있다. 식중독은 주로 오염된 균의 식품을 섭취하거나 오염된 자연환경에 노출됐을 때 발생한다. 예방 방법은 음식 익혀서 먹기, 조리기구 살균 소독, 자주 손 씻기 등이다.

 

도는 식중독 예방을 위해 음식점, 어린이집, 학교·어린이집 등 식중독 발생 우려 시설에 대해 시·군, 교육청 등과 합동으로 중점 지도 점검하고 도민 홍보, 식중독 발생 현장 모의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외식과 야외활동 등이 증가하고, 봄철 기온이 올라가면서 식중독 발생 우려가 높아졌다”라며 “음식점 등 식품 취급 업소에서는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도민들은 손 씻기 등 개인위생에 신경 써 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