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2030년 인구 114만명 대비 하루 630t 처리 소각장 시급”

image
고양특례시가 시청 대회의실에서 폐기물처리시설 조성사업 타당성조사 용역 최종보고회를 하고 있다. 고양특례시 제공

 

고양에 2030년 인구 114만명에 대비, 하루 630t 처리규모 폐기물 소각시설을 조성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해당 시설 조성을 위해선 국비를 포함해 4천163억원이 필요하고 주민편익시설에 568억원이 투입돼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6년부터 정부의 생활폐기물 수도권매립지 직매립 금지정책에 대비해 생활폐기물의 효율적 처리방안도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고양특례시가 최근 대회의실에서 박원석 제1부시장이 주관한 폐기물처리시설 조성사업 타당성 조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이 같은 예측이 나왔다.

 

이에 따라 2030년까지 창릉신도시 등 공공택지개발지구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을 제외한 소각대상 생활폐기물은 종량제 생활폐기물 361t, 재활용 잔재물 35t, 음식물 협작물 7t, 대형 폐기물 38t, 하수슬러지 83t 등 하루 524t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위해 하루 630t의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외에 하루 140t 처리가 가능한 재활용 선별시설이 설치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음식물 폐기물은 기존 고양바이오매스 에너지시설과 신규 공공택지 개발에 따른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등을 통해 처리하는 것으로 계획됐다.

 

이와 함께 신규 소각시설 조성을 위해 자연녹지 기준 4만3천470㎡의 부지와 주민편익시설 2만4천463㎡ 등이 필요하고 예상되는 총사업비는 국비지원금을 포함해 4천163억원이 소요되며 이 중 주민편익시설에는 568억원이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 ▲입지결정 주변 지역에 대한 지원계획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위원회 역할 ▲입지 후보지 신청방법 등을 내용으로 28일 폐기물처리시설 입지결정계획을 공고할 예정이다.

 

한편 보고회에는 박 부시장을 비롯해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위원회, 폐기물처리시설 신규 건립TF팀 등 관계자 35명이 참석했다. 

 

시 관계자는 “자체 계획에 따라 폐기물처리시설 조성을 진행하되, 인근 지자체와의 협의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