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 발언 보도를 둘러싸고 국민의힘에서 오역을 주장하자 인터뷰를 한 해당 기자가 윤 대통령의 인터뷰 녹취 파일을 공개하며 오류가 없었다고 반박했다.
앞서 워싱턴포스트는 방미를 앞둔 윤 대통령과 서울에서 90분 동안 진행한 인터뷰를 24일 공개했다.
해당 인터뷰 중에서 윤 대통령은 한일 관계에 대해 "나는 100년 전에 일어난 일 때문에 절대 할 수 없는 일이 있다거나, 일본이 100년 전 역사 때문에 (용서를 구하기 위해) 무릎을 꿇어야 한다는 생각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보도 이후 윤 대통령의 역사 인식을 비판하는 여론이 거세지자 유상범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밤 “대통령실이 공개한 한국어 인터뷰를 보면 윤석열 대통령은 유럽의 미래지향적 협력을 강조하며, 주어를 생략한 채 해당 문장을 사용했다”며 “해당 문장은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것은 (일본이) 받아들일 수 없다’로 해석해야 한다”고 밝혔다.
요지는 윤 대통령의 '한·일 관계' 인터뷰에 대한 언론이 "생략된 주어를 '일본'이 아닌 '저는'으로 잘못 해석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자 해당 기사를 쓴 워싱턴포스트 미셸 리 기자는 25일 자신의 트위터에 "번역 오류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오디오로 다시 교차 확인했다"며 인터뷰 내용을 공개했다. 공개된 내용에는 "100년 전 일을 가지고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이거는 저는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라고 적혀 있다.
해당 인터뷰 내용과 미셸 리 기자의 트윗이 공개되자 정치권 논란도 격화됐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미셸 리 기자의 트윗을 리트윗한 뒤 "'저는'이 주어"라며 논란에 가세했다.
유승민 전 의원은 24일 페이스북에 "심각한 역사인식"이라며 "아무리 선출된 권력이라도 반인륜적 범죄를 저지른 일본에 대해 면죄부를 줄 권리까지 국민들이 위임하지는 않았다"고 비판했고,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대한민국 대통령이 아닌 일본 총리의 말인 줄 착각하고도 남을 만큼, 매우 무책임하고 몰역사적인 인식을 드러냈다"고 주장했다.
반면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는 "'국익 앞에 여야 없다'는 평범한 진리가 대한민국 국회에서 실종된 현실이 너무 안타까울 따름"이라며 야당을 비판했고, 김정재 의원은 "'일본'이라는 주어가 해석에서 빠진 것 같다"며 "앞뒤 내용을 보면 과거사 문제든 현안이든 결국 소통을 해서 해결해야 하지 않느냐는 말을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윤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해석 여부로 여야가 논쟁이 붙은 것은 지난해 9월 '바이든' '날리면' 발언 이후 7개월 만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