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침체 여파로 반도체 수요가 부진하고 재고가 늘며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반도체 부문에서만 4조5천억원을 상회하는 적자를 냈다.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분기 적자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던 2009년 1분기 이후 14년 만이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6천40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5.5% 떨어진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7일 공시했다. 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대 아래로 추락한 것은 5천900억원을 기록한 2009년 1분기 이후 사상 처음이다.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8.1% 줄어든 63조7천454억원이었으며, 순이익은 1조5천746억원으로 86.1% 감소했다. 이는 지난 7일 공시한 매출 63조원, 영업이익 6천억원의 잠정 실적과 비슷한 수준이다.
부문별로 보면 반도체 담당 DS부문에서 무려 4조5천800억원의 적자를 냈다. DS 부문 매출은 13조7천300억원에 그쳤다. 작년 동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반토막 났고, 영업이익은 무려 13조원이 증발한 것이다.
메모리반도체는 재고 자산 평가 손실 영향 속 고객사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며,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해 실적이 바닥을 쳤다. D램은 고객사 재고가 높아 수요가 부진했지만, 낸드는 수요 약세에도 고용량 제품 수요에 적극 대응해 비트그로스(bit growth·비트 단위로 환산한 생산량 증가율)가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다.
시스템LSI는 모바일과 TV 등의 수요 부진으로 주요 제품의 수요가 급감해 실적이 하락했다. 파운드리도 글로벌 경기 침체로 수요가 위축됐고, 고객사 재고 증가로 주문이 감소해 실적이 하락했다.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1분기 매출 46조2천200억원, 영업이익 4조2천100억원을 기록했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 사업은 갤럭시 S23의 판매 효과로 모처럼 호실적을 내며 반도체 부문 적자를 만회했다. 수익률도 두 자릿수 이상으로 회복했다.
미래 대비를 위한 투자를 늘린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시설 투자액은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한 10조7천억원이다. 역대 1분기 기준으로 최대 금액이다. 이 중 반도체는 9조8천억원, 디스플레이(SDC)는 3천억원 수준이다. 연구개발비는 6조5천800원으로 지난 분기에 이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