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정자교 붕괴사고 후속 조치... 58개소 안전점검서 315건 발견
경기도가 성남시 분당구 정자교 붕괴사고 직후 실시한 도내 노후교량 안전점검에서 사고원인과 같은 하중에 취약한 교량 구조와 철근 노출 등 수백건의 지적사항이 쏟아져 나왔다.
이에 따라 도는 도민의 보행 안전을 위해 이달부터 도내 노후교량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비롯, 긴급 보수 공사에 들어간다.
30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5일부터 21일까지 도가 관리하는 C등급 노후교량 58개소에 대한 안전점검을 시행해 총 315건의 지적사항을 발견했다.
이번 안전점검은 지난달 2명의 사상자를 낸 성남시 정자교 붕괴사고에 따른 후속 조치다. 정자교와 같은 C등급 시설은 조속한 보강이 필요한 시설물로, 현재의 결함 상태가 계속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시설물을 의미한다.
지적사항이 발견된 부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면상부 139건, 교면하부 96건, 하부구조 76건, 보행자도로 4건 등이다.
특히 정자교 붕괴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된 ‘캔틸레버’ 형식의 교량이 11개소로 드러났다. 캔틸레버는 보도부 한쪽 끝만 고정되고 다른 끝은 하중을 지탱하는 기둥이 없는 형태의 구조물이다. 사고 당시 캔틸레버가 하중을 못 이긴 것이 사고 원인으로 추정됐다.
이와 함께 양평군 일신 2교 교면에서는 콘크리트 표면층이 수축되며 발생한 미세한 불규칙 균열이 발견됐다. 또 포천시 옥병교에 슬래브 철근 노출이, 화성시 사창2교에 슬래브 하면 균열 등이 나타났다. 정자교 역시 지난해 시행된 안전 점검에서 이 같은 슬래브 균열 등이 확인된 바 있다.
도는 이에 따라 이달부터 도내 C등급 노후교량 중 보강이 필요한 시설물을 대상으로 보수공사를 긴급 발주한다. 또 ‘시설물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근거로 4개월 간 정밀안전진단을 시행한 뒤 9월부터는 진단 결과에 따라 보수·보강공사를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정밀안전진단은 초음파, 누수탐사 등의 현장조사를 통한 콘크리트 내구성 및 구조안전성 평가를 거쳐 구체적인 보강 방안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도 관계자는 “이번 정밀안전진단에 12억원가량이 소요될 예정으로, 재난관리기금 사용을 검토하고 있다”며 “신속한 조치로 안전한 경기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