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 착수… 2040년 목표, 폭우 등 대비체계 반영

인천 남동구 구월동 시청 본관.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기후변화에 따른 폭우가 내릴 때를 대비한 하수처리 방안 등을 담은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시는 ‘2040년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용역’을 발주하고, 이를 위한 용역사업 집행계획 및 사업수행능력평가서 제출안내 공고를 했다고 22일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 2020년에 공공하수처리시설 용량을 높이고 승기하수처리장을 지하화하는 내용의 2035년 목표 계획을 마련, 환경부 승인을 받기도 했다.

 

시는 이번 2040년 목표 계획 마련을 위한 용역비로 44억9천900만원을 책정했다. 용역 기간은 착수일로부터 2년이다.

 

시는 용역을 통해 안전·쾌적·재정건전성을 확보한 스마트 하수도시설을 구축하고, 지속가능한 하수도 인프라 마스터플랜을 마련할 방침이다.

 

특히 시는 최근 기후변화를 고려한 확률 강우 정도 등을 분석하고, 초기 우수(FF) 관리방안, 비상시 하수처리 방안 등을 찾는다. 하수처리시설의 효율적인 개량방안이나 스마트한 하수처리시설 구축방안도 마련한다.

 

시는 용역을 통해 빗물 유량의 경우 건기와 강우를 포함 최소 3계절 이상 측정한다. 이를 통해 야간 최저 유량에서 강우 때 최대 유량까지 모두 측정, 홍수 때에 대한 대책도 마련한다. 여기에 강우 때는 강우초반부는 가능한 조밀한 간격으로 측정해 초기강우 특성이 잘 나타나도록 분석한다.

 

이를 통해 시는 강우량에 따른 하수유입 특성을 사전분석, 종전 시설의 최적 운영 및 적정 규모의 시설확충 계획을 마련할 수 있도록 강우시 하수도 시스템 모니터링 및 모델링 결과보고서도 확보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효율성 높은 하수찌꺼기(슬러지) 감량화와 최종 처리 방안, 하수처리시설의 악취 개선 방안, 하수처리수 재이용 방안, 하수도대장 정확도 향상 방안, 노후 하수관로 정비 방안 등도 살펴본다. 신재생 에너지 도입과 효율적인 하수처리시설의 운영 방법, 하수도재정 건전성 확보 방안 등도 분석한다.

 

이 밖에 시는 인천지역 하수도의 유량 및 수질 조사, 우수토실 114곳에 대한 조사, 40.5㎢에 이르는 하수도 대장 및 조서의 작성·보완도 한다.

 

시 관계자는 “기후변화와 도시개발 사업 등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계획을 마련하려 한다”며 “이를 통해 하수도 보급률 등을 높여 공공수역의 수질 보전 등을 이뤄내겠다”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