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가 지난해 한국환경공단에 의해 진행되던 구리-남양주 에코 커뮤니티사업을 위한 공모 절차를 돌연 중단한지 9개월이 훌쩍 지났다.
그 사이 사업을 둘러싼 의미 있는 진척은 찾아볼 수 없어 결국 이런저런 이유로 시간만 버린 셈이 됐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향후 시설 부재에 따른 재정 과다 지출 등 부작용은 고스란이 시민의 몫이 될 수 밖에 없는 상태다.
해당 사업은 현 소각장 부지 일원을 중심으로 하루 처리 용량 100t의 소각시설 증설과 함께 같은 규모의 음식물 처리시설 지하 건설이 골자다.
대신 지상에는 축구장과 풋살장 등 주민 편익시설을 조성하는 것으로 당초 물놀이장(워터파크)이 제외되면서 상당 부문 후퇴됐지만 그나마 최선책으로 추진됐다.
현재 가동 중인 소각장(소각로 2기)의 경우 하루 처리 용량이 130여t(구리 7t, 남양주 3t)에 그치고 있다.
각각 100t으로 설계됐지만 노후화 등으로 제 몫을 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리에서 발생한 폐기물 반입량은 평일 기준 70~80t으로 연간 2만5천여t을 넘어선다.
김포 매립지로의 반입량도 2천500여t에 근접하고 있다.
당장 노후화 시설의 경우 대보수, 소각장 증설 또한 남양주와의 광역 처리를 감안할 때 여유 시설이 필요하다.
미래를 위한 중장기적 차원에서도 시설 증설은 절실하다.
에코사업 추진은 10여년 이상의 시간 동안 추진돼 오면서 우여곡절이 많았다.
박영순 전 시장 때 최초 입안됐던 사업은 민선6기때 철회된 후 민선7기 안승남 전 시장 때 복원된 현안 사업이다.
민선7기 구리시는 사업 재개를 위해 주민 설명회와 남양주와의 협의 등 줄다리기를 벌인 결과, 사업 재개를 이뤄냈다.
이후 탄력이 붙은 에코사업은 시의회 동의 등으로 본 궤도에 오르며 순항이 기대됐다.
그런데 지난해 6월 백경현 시장이 당선되면서 먹구름이 드리웠다.
재검토 등의 명목으로 3자 제안공고 마감일을 불과 며칠 앞두고 행정절차가 전면 중단됐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시 재정 등에 미치는 영향, 시민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재추진 여부 등을 결정하겠다는 원론적 입장만 보여왔다.
소각장 전문 업계는 에코사업과는 별도로 추진 중인 대보수에 대해서도 당장 사업이 추진되더라도 3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만큼 사업 추진이 녹록찮다는 이유에서다.
에코사업 포기 대신, 소각로 개보수와 음식물처리시설을 별도로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가정해 보자. 노후화 소각로에 대한 개보수 사업시, 그 방법이나 공사 기간 폐기물 처리 또한 쉽지가 않다.
게다가 음식물처리시설 또한 에코 사업 기회를 살리지 못할 경우, 또다른 민원 등 변수에 부딪칠 공산이 크다.
구리시 고위직 공무원을 지낸 A씨는 “구리시가 이번 에코 사업 기회를 살리지 못한다면 생활폐기물 처리나 음식물 처리에 많은 고민과 재정 지출을 감당할지도 모른다”면서 “착공 문턱에 와 있는 에코 사업 재개를 서둘러 구리시의 중장기적 근심을 덜어내는 결단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