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한국인 수면 질 저하로 우울증 유병률 10년 전보다 2배↑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윤창호 교수팀이 한국인의 수면 질 저하로 우울증 유병률이 10년 전보다 2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분당서울대병원은 총 수면시간이 우울증과 관련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31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신경과 윤창호 교수팀(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과 윤지은 교수)은 10년간 한국 성인의 수면특성 변화와 우울증과의 관련성을 확인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2009년에 비해 2018년 우울증 유병률이 2배 가까이 증가했고 5시만 미만 수면할 경우 7~8시간 수면한 사람보다 우울증 발병 위험이 최대 3.7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팀은 한국 성인의 수면 특성의 변화를 확인하고 우울증과 수면시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 대상은 2009년(2천836명)과 2018년(2천658명)에 무작위로 추출된 19세 이상 성인이며 ▲기상 시간 ▲취침시간 ▲총수면 시간 ▲주관적인 잠 부족 경험 ▲수면의 질 ▲우울증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2009년에 비해서 2018년의 우울증 유병률은 4.6%에서 8.4%로 증가했다. 아울러 평균 수면시간은 19분 감소하는 등 불충분한 수면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사람의 비율이 30.4%에서 44.3%로 증가했다.

 

수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의미하는 수면잠복기는 평일 8분, 주말 7분 증가하는 등 평일, 주말 모두 수면 효율성이 떨어졌으며 피츠버그 수면 질 지수도 3.6에서 3.8로 증가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최초로 한국인을 대상 수면 특성 변화 연구로 수면 지속시간과 우울증의 연관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특히 2009년과 2018년 모두 7~8시간 잔 사람의 우울증 유병률이 가장 낮았으며 5시간 미만으로 잔 사람은 적정 수면시간을 취한 사람보다 3.08~3.74배 높았다. 아울러 9시간 이상 잠을 자면 우울증 유병률이 1.32~2.5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적정 수면시간을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창호 교수는 “부족한 수면시간과 낮은 수면의 질은 우울증 외에도 뇌졸중,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윤지은 교수는 “질환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선 좋은 수면 행동의 중요성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대한신경과학회에서 발행하는 SCI 논문인 임상 신경학(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에 게재됐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