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물류 거점 지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5년 계획의 로드맵을 공개했다.
시는 31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물류정책위원회를 열고 시의 물류 비전과 추진전략을 담은 ‘제4차 지역물류 기본계획(안)’과 ‘2023년 지역물류 시행계획(안)’을 확정했다.
시는 이번 계획에 ‘디지털 물류 선도, 글로벌 물류 성장엔진 인천 구현’ 이라는 비전을 정했다. 또 시는 단절 없는 물류 거점과 연계 체계를 마련하고, 스마트 기반의 디지털 물류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어 시는 생활밀착형 물류체계를 구축해 지속가능한 물류산업을 육성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시는 ‘인천 특화형 물류산업 육성'을 위한 5대 추진전략을 설정한다.
시는 이를 위해 미집행 도로망을 건설과 디지털 물류 전환 사업을 추진한다. 또 생활물류쉼터를 조성하고, 친환경 물류인프라 구축에도 나선다. 특히 시는 약 1천360억원을 투입해 항공정비산업(MRO) 단지를 조성할 구상이다.
시는 ‘물류정책기본법’에 따라 5년 마다 지역 물류 기본 계획 등을 마련하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제4차 지역물류 기본계획'은 앞을 10년 동안 시의 물류비전과 정책추진 방향의 이정표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기본계획에 정한 과제를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인천을 국제물류와 산업물류, 생활물류가 함께 공존하는 ‘물류 중심 도시’로 조성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