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회전하는 권역별 소각장... 각자도생으로 가려는가

인천의 쓰레기 소각장 확충이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헛바퀴만 돌리며 벼랑 끝에 몰릴 수순만 남기고 있다. 당초 구상한 4개 권역별 소각장 신설은 오히려 뒷걸음질이다. 여기저기서 우리는 논의에서도 빠지겠다고 한다. 구청장들은 주민 반대를 들며 정치적 입지만 헤아린다. 돌고 돌아 이제는 소각장을 짓든 키우든 인천시가 알아서 하라는 얘기도 나온다. 핑퐁게임인가. 반면 서울이나 경기에서는 하나둘 난제를 풀어가고 있다. 인천이 외치던 ‘쓰레기 발생지 처리’가 부메랑으로 돌아올 참이다.

 

인천 중·동구와 옹진군이 이달 중 서부권 소각장 입지 선정에 들어간다고 한다. 중구 남항 일대와 동구 북성포구 십자수로 매립지가 후보지다. 그러나 이곳 역시 조율이 쉽지 않으리라는 전망이다. 이미 동구가 서부권 소각장의 재검토를 주장한 바 있다. “타당성이 없어 주민 반발을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이유다. 나머지 3곳은 아예 논의조차 실종된 상태다. 계양·부평구의 동부권 소각장 사업의 경우 인천시와의 태스크포스(TF) 운영도 중단했다. 서구·강화군의 북부권이나 미추홀·남동·연수구의 남부권도 그렇다. 소각장의 이름만 지어 놓은 상태다.

 

2026년 1월1일부터는 인천 서구 경서동의 수도권매립지에 쓰레기를 바로 묻을 수 없다. 2년 반 정도 남았다. 이에 서울은 최근 마포 소각장의 신축을 성사시켰다. 1일 평균 2천t의 쓰레기 중 1천t을 처리할 소각장이다. 나머지는 종전 강남·노원·양천 소각장 등에서 소화한다. 직매립 금지 대비책을 마련한 셈이다. 경기도도 쓰레기 처리 용량이 부족한 시·군에 추가로 소각장을 짓는다. 경기도는 서울 인천에 비해 소각장을 지을 공간 여유가 있어 걱정이 덜한 편이다.

 

이대로 가면 인천부터 ‘쓰레기 대란’에 직면할 수도 있다. 1일 발생 쓰레기가 1천400여t에 이르는 대도시다. 이제 와서 인천 구청장들은 인천시가 직접 광역 소각장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떠맡기 싫다는 속내겠지만 틀린 말도 아니다. 발생지 처리 원칙은 군·구 단위뿐만 아니라 광역시에도 해당하기 때문이다. 직매립을 금지하고 쓰레기를 소각한 재만 묻어야 한다는 정책은 인천에서 비롯했다. 30년 이어 온 수도권매립지의 종료 수순이기도 하다. 그런데도 소각장 확충 문제에 있어서는 가장 뒤처져 있다. 권역별이든 동네별이든 인천시가 뛰어들어야 한다. 주민 반대에도 꼭 해야 할 일은 해내야 한다. 재외동포청 입지에 대해서는 “송도에만 보낸다” 한 것 또한 주민 여론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이른바 ‘플랜 B’ 밖에 남지 않는다. 동네별로 자기 쓰레기 자기가 태우는 각자도생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