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센터 민간위탁 입양률 저조 대전시는 직영 운영… 체계적 관리 구조·입양 원스톱 사망 19.8% 불과
인천지역 유기동물 10마리 중 4마리는 다시 가정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안팎에서는 인천시가 유기동물 입양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인천시와 동물자유연대 등에 따르면 인천지역의 유기동물보호센터의 자연사 비율은 33.3%이고, 안락사 비율은 7.19%이다. 즉 유기동물 10마리 중 4마리는 다시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센터에서 목숨을 잃고 있는 셈이다.
지역별로 유기동물의 자연사 비율은 연수구가 57.7%로 가장 높다. 뒤이어 계양구 48.8%, 옹진군 41.4%, 미추홀구 41.2%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남동구가 40.6%, 동구 35.1%, 강화군 29.6%, 부평구 29.5%, 서구 25.3%, 중구 19.9%이다.
또 안락사는 강화군이 28%로 가장 높고, 이어 옹진군이 13.3%, 중구 9.3%, 서구 7.5%, 동구 3.1%로 나타났다. 뒤이어 남동구가 2.7%, 연수구 2.3%, 부평구 2.1%, 미추홀구 2.1%, 계양구 0.5% 순이다.
특히 센터가 보호하는 동물들이 입양으로 이어지는 비율 역시 지난해 37.9%에서 올해 33.06%로 4.8%가 줄어들고 있다. 군·구별 유기동물의 입양률은 연수구가 18.1%로 가장 저조하다. 뒤이어 계양구가 21.1%, 미추홀구 24.4%, 강화군 24.7%이다. 이어 동구 26.8%, 남동구 28.6%, 옹진군 33.6%, 서구 38.8%, 중구 39.2%, 부평구 45.3%이다. 입양률이 가장 높은 부평구도 50%를 넘지 못한다.
이 같이 유기동물의 입양률이 저조한 것은 대부분 유기동물 보호센터가 민간위탁으로 운영하고 있는 탓이 크다. 인천시와 군·구가 유기동물 보호센터에 1마리당 10~20만원의 관리비용을 지원하고는 있지만, 보호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고 나면 추가적인 사업을 하기는 불가능하다. 유기동물의 입양 문화를 확대하기 위한 추가 정책 및 사업이 절실한 이유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는 “현재 보호센터는 유기동물을 보호기간인 10일 동안 단순히 데리고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픈 유기동물의 방치 및 치료 부족으로 주인을 못 찾으면 결국 안락사밖에 답이 없다”고 했다.
반면, 대전시는 직영 동물보호소인 ‘대전동물보호센터’ 운영을 통해 유기동물 구조와 입양까지 체계적인 관리를 하고 있다. 대전시는 동물보호센터에서 유기동물을 입양하는 시민에게 무료 내장형 동물등록, 무료 전염병 키트(Kit) 검사 등 적극적인 입양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도 시민이 더 쉽게 동물을 입양할 수 있도록 마포·구로·강동·서초·노원구 등에 ‘유기동물 입양지원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곳에서 유기동물과 미래의 반려견 보호자를 만날 수 있도록 하는 등 입양 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서울시 유기동물 4천702마리 중 사망 비율은 38%이다. 대전시도 유기동물 1천787마리 중 사망 비율 19.8%에 그친다.
전문가들은 공공이 유기동물 보호센터 및 입양센터를 관리하면서 유기동물의 구조에서부터 입양까지의 절차를 체계적으로 운영해야한다고 제언했다.
이웅종 연암대학교 동물보호계열 교수는 “입양이 늦춰지면 센터의 개체 수가 계속 늘어날 수 밖에 없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유실·유기동물의 입양률을 늘리기 위해 입양센터를 확대시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시 차원에서 입양센터 마련 및 홍보‧계몽을 통해 입양을 빨리 시킬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인천의 입양률이 낮은 문제를 알고 있다”며 “대부분 동물병원인데다 개인사업자라 강제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유기동물의 입양지원센터 운영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