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 쓰나미’ 덮치나…경기도내 수산업계 ‘긴장’

일본 정부 방류 시운전 소식에 어민들 뒤숭숭… 불안감 확산
수산물 유통업계도 피해 우려... 정부에 신속 대응책 ‘한목소리’

13일 오전 수원특례시 권선구 내 한 대형마트 수산물 코너에 '일본산 수산물을 취급 및 판매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게재된 모습. 이나경기자

 

최근 일본 정부가 방사성물질 오염수의 바다 방류를 위한 시운전을 시작한 가운데, 경기도내 수산업계가 깊은 우려와 함께 정부의 신속한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13일 시흥시의 한 어촌계는 벌써부터 뒤숭숭한 모습이다. 어업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이곳 어민들 사이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소식은 그야말로 청천벽력과 같다. 이곳 어민들은 지난 2021년 일본 정부의 원전 오염수 방류를 반대하며 어선 시위를 벌인 적이 있는데, 이들에게 오염수 방류는 말 그대로 ‘죽고 사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12일 일본 정부가 원전 오염수 방류의 시운전에 들어가는 등 적극적인 방류 의지를 보이자 어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는 모습이다. 

 

이곳에서 어업에 종사하고 있는 A씨는 “매년 여름철만 되면 비브리오패혈증 감염 우려로 수산물 가격이 헐값이 되는데, 원전 오염수가 방류된다고 하면 수산업계가 연쇄적으로 주저앉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어촌계 뿐만 아니라 수산물 유통업계 역시 불안에 떨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다. 오염수 방류로 국내산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소비심리가 위축되면 유통업계 역시 그 영향을 피해갈 수 없기 때문이다.

 

도내 한 수산물도매시장 관계자 역시 “아직 해양수산부에서 정확한 지침이 내려오지 않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우선 도매법인과 함께 방사능 측정기를 구입해 불특정하게 검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이것은 단편적인 조치에 불과하다. 정부의 정확한 지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실체가 없는 위험’이라는 점에서 소비자들이 불안함을 느끼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고 막연하게 안심하라고 말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정부가 명확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민의 불안 심리가 팽배하자 정부는 현장 소통 강화, 국민 안심 상황관리반 신설 등 대책 마련에 나선 상황이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12일 ‘수산물 안전관리 주요 소통계획’을 발표하고, 수산물안전관리과 중심의 기존 조직을 ‘국민 안심 상황관리반’으로 확대 개편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날(13일)부터 어업인과 수산물 유통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부산·서울·경남·강원·전남 등 권역별 전국 순회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