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화물차주차장 조성했지만... 주민들 반대로 사용 ‘무용지물’ 물류 종사자 7만5천270명 달해... 市 “우려 부분 줄일 방안 찾겠다”
인천 물류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주민 반대에 부딪히고 있는 공영화물차고지와 물류센터 등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인천시의 제4차 지역물류기본계획에 따르면 인천지역의 물류산업 사업체 수는 총 3만1천64개이고, 이곳에서 일하는 종사자 수는 7만5천270명이다. 군·구별로는 물류산업 사업체가 서구가 6천85개(18.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중구 5천612개(17.8%), 남동구 4천503개(13.6%)이다.
또 이들 물류 종사자들의 74.5%는 ‘공영 화물차고지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공감했다. 앞서 시와 인천항만공사(IPA)는 지난해 12월 송도동 297의10 일대 5만㎡에 총 402면 규모 화물차주차장을 조성했으나, 주민 반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인천지역의 1일 화물차 통행량은 63만1천776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많은 통행량을 보이는 곳은 영동고속도로의 서창분기점(JCT)으로 1일 5만4천408대가 지나간다. 이는 2018년 대비 7.1%가 증가한 수치다. 이 외에도 일반도로인 무네미로가 1일 3만5천354대로 지난 2018년에 비해 9.1%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시는 오는 2035년까지 지역물류거점인 물류터미널과 보관 및 집배송 시설에 필요한 면적은 약 61만7천434㎡(18만7천101평)인 것으로 분석했다. 군·구별로는 중구가 15만1천128㎡(4만5천796평), 연수구가 12만7천199㎡(3만8천545평), 서구 12만399㎡(3만6천484평) 순이다. 이들 대부분 인천항으로 인해 물류 저장 및 집배송에 필요한 공간이 필요한 곳들이다.
시는 인천이 국제공항과 항만, 각종 산업단지와 수도권매립지를 품고 있으면서 화물 유발 요소가 밀집해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시는 물류업 관련 시설이 주민 반대가 극심한 만큼, 물류업에 대한 스마트화가 절실하다고 보고 있다. 이를 통해 시는 지역의 물류와 관련,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구축해 ‘사람 중심의 지속가능한 물류 산업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물류업의 스마트화를 통해 주민들이 우려하는 부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인천이 인천항과 공항을 품고 있는 만큼 글로벌 물류의 거점으로 거듭 날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발전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