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 ‘전략회의’ 개최... 道·공공기관 역할 머리맞대 글로벌기업 유치 약 30조원... R&D·클러스터 58조원 목표
경기도가 민선 8기 내 ‘100조원 이상 투자유치’ 목표 달성을 위해 공공기관과 투자 유치 총력전에 돌입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1일 성남 판교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유관 실·국장, 산하 공공기관 대표단, 산업계 전문가, 도내 투자기업 등에 참석한 가운데 ‘투자유치 100조+전략회의’를 열었다.
이번 토론회는 100조원 이상의 민간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도와 공공기관 역할을 정립하고 새로운 미래 투자유치 전략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회의를 통해 도는 ▲글로벌기업 유치 약 30조원 ▲연구개발(R&D) 및 클러스터 유치 약 58조원 ▲테크노밸리 등 조성 유치 약 37조원 등 총 125조원 이상의 투자 목표를 설정했다.
또 원활한 목표 달성을 위해 기존 글로벌 기업과 외자 유치 중심이었던 투자 유치 전략을 국내외 기업으로의 유치 범위 확대, 혁신 산업 전 과정 종합 지원 방향으로 수정했다.
특히 도는 기존 교류, 경제 담당 부서에 한정됐던 투자 유치 업무를 모든 실·국, 공공기관 주요 업무로 확대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도시주택실과 경기주택도시공사는 사업 구상 단계부터 투자유치를 염두에 두고 개발 계획을 진행하게 된다.
또 산업단지·테크노밸리·공업지역이 조성되면 관련 산업 육성 및 지원 부서, 유관 공공기관 등이 모두 참여해 복합클러스터를 유치할 예정이다.
회의에 이어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경기도 혁신성장전략 제안’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 100조원 이상 민간 투자유치를 마중물 삼아 ▲도내 첨단 신산업 육성 ▲지역특화산업 전환, 혁신클러스터 거점 조성 ▲우수 인재 양성 및 규제 완화 등 전방위적인 혁신성장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지사는 “투자빙하기 속에서도 지난 1년 동안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며 “앞으로 남은 임기 중 최소 100조원 이상 투자유치로 경제 활성화를 하고 일자리를 만들어 고른 기회, 더 나은 기회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지사는 민선 8기 출범 1년만에 10조원 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한 바 있다. 세계 1~4위 반도체 장비 기업(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 에이에스엠엘, 램리서치, 도쿄 일렉트론)의 미래기술 연구소와 반도체 공급망 안정을 위한 유수 기업(온세미, 린데 등)을 유치하면서 도내 반도체 벨트 구축 기반을 마련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