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퇴직 등 33명 道 떠날 채비... 본청 인력, 정부부처 전출 희망 외부 인력, 복귀 꺼리는 분위기... 주요 실국장 자리 인선에 ‘난관’ 회전문 인사설에 술렁임도 거세... 道 “직전까지 협의 가능 예단 일러”
출범 1주년을 앞둔 김동연호(號) 경기도가 정기 인사에서 ‘실국장 모시기’에 골머리를 앓는 모양새다.
도정 주축을 차지하던 1964년 상반기 출생 공무원을 중심으로 30여명이 퇴직하며 실·국장급 인선이 중요해졌지만, 하마평이 오르는 본청 내부 인력은 시·군 내지 정부 부처 전출을 선호하고, 외부 인력은 본청 복귀를 꺼리는 분위기가 감지돼서다.
22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7월 정기 인사에 맞춰 공로연수 14명, 명예퇴직 19명 등 33명이 도를 떠날 예정이다.
본청 실국장의 경우 기획조정실장과 보건건강국장, 축산동물복지국장을 비롯해 도인재개발원장 등이 정년 퇴직을 앞뒀고, 부단체장의 경우 수원, 시흥, 하남, 안성, 구리, 포천, 양평, 동두천 등에서 정년 퇴직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2급 고위직 후임으로 강력하게 거론되던 또 다른 고위급 인사가 정부부처 전출을 희망하고 있는 데다, 본청 실국장 자리 제의를 받고 있는 복수의 시·군 부단체장도 복귀를 꺼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정의 핵심인 2급 인선부터 시작해 실국장 인선이 난관에 부딪힌 셈이다.
반대로 남부지역내 한 시·군 부단체장 자리를 두고는 8대 1 안팎의 높은 경쟁률이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실국장급을 중심으로 내부에서의 외부 전출 열기는 뜨겁지만 반대의 경우는 인기가 시들한 분위기가 감지되는 것이다.
특히 일부 국장급 자리가 개방직으로 전환, 현직자가 퇴직 후 같은 자리에 복귀하는 ‘회전문 인사’ 가능성도 점쳐지면서 “후임 공직자의 승진 길을 가로막는 것 아니냐”는 내부 술렁임도 거세지는 상태다.
상황이 이렇자 도 내부에서는 7월 정기 인사를 열흘도 채 남기지 않았음에도 2·3급 실국장 하마평이 좀처럼 오르내리지 못하면서 인력난, 인사 난항에 따른 실책 가능성이 제기되는 모양새다.
도 관계자는 “부단체장과 실국장급 인사가 대거 퇴직하면서 인사 규모가 커지는 만큼 본청 승진 및 전보 대상자 선정과 시·군 간 인사 교류 협의가 복잡한 상태”라며 “특히 시·군 인사 교류는 정기 인사 직전까지 협의가 이뤄질 수 있어 예단하기 이르다”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