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H 청사 활용 방안 마련해 주민 설득 우선 과제 주차난 우려… 루원복합청사 설계 변경도 불가피
인천시가 인천도시공사(iH)를 2025년 준공 예정인 루원복합청사로 이전하는 방안을 전격 검토하고 있다.
25일 시와 iH 등에 따르면 시는 다음달 ‘공공시설 실태조사 및 재배치 방안 수립 용역’의 중간보고회를 열고 iH의 이전 등을 위한 구체적인 내부 논의에 나선다. 시는 최근 iH측에 루원복합청사로의 이전을 제안했다.
인천연구원,인재개발원,인천관광공사 등의 루원복합청사 이전 계획이 백지화 되면서 추가 기관 유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가 iH 이전을 추진하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하다. 우선 시는 남동구 만수동에 있는 iH 청사에 대한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주민 반대를 피할 수 있다. 시는 2019년 iH 이전을 검토했지만 지역 상권 위축을 우려한 만수동을 비롯한 남동구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포기했기 때문이다. 시는 이곳에 시 종합건설본부 등 지역 상권 활성화를 대체할 수 있는 기관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H의 이전을 위해서는 이미 사무동과 교육동으로 설계한 루원복합청사에 대한 설계 변경도 불가피하다. 시는 설계 당시 인재개발원 이전에 대비해 숙박을 할 수 있는 5층 규모의 교육동과 지하2층~지상13층 규모의 사무동 시설을 반영했다.
그러나 이곳에 도시개발 및 주거 업무를 맡는 iH가 이전을 하면 교육동의 숙박시설은 필요하지 않아, 설계 변경을 해야 한다.
또 루원복합청사의 주차장 면수가 법정대수인 369대에 불과해 iH가 이전하면 주차난도 피할 수 없다. 현재 iH의 총 직원이 365명인 데다 민원인 차량도 많아 법정대수의 최소 1.5배 이상의 주차장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지역 안팎에서는 행정기관 청사 재배치는 ‘땜빵식’이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는 2026년과 2027년에는 2군·9구의 행정체제 개편과 인천시 신청사 입주 등을 앞두고 있어서다. 시는 제물포구와 검단구·영종구 등 신설 행정체제에 맞춘 청사 확보와 인천시청 신관의 재배치 구상도 마련해야 한다.
배덕상 인천연구원 인천공공투자관리센터 연구위원은 “공공기관은 자리를 잡으면 이전이 쉽지 않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입주 예정 기관이 빠진 자리에 다른 기관을 넣어서 해결하는 방법은 맞지 않다”며 “해마다 행정체제 개편과 신청사 건립이라는 굵직한 사안이 있는 만큼, 장기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아직 정해진 내용은 없다”면서도 “iH가 빠지면 일대 주민들의 반발을 해결할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 하겠다”고 했다. 이어 “교육동의 설계 변경을 하고, 주차장은 추가적으로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