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계획' 국제 기준 부합

image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이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종합보고서를 공개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에 대해 배출 기준과 목표치에 적합하며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 국제 기준에도 부합하다고 결론지었다.

 

정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는 7일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 계획에 대한 과학기술적 검토’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후쿠시마 시찰단’이 일본에 가서 실측한 내용 등을 포함한 최종 보고서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 계획을 6개 분야로 나눠 분석한 결과 ‘배출기준에 적합하다’는 결론을 냈다. 

 

6개 분야는 ▲삼중수소 제외 핵종 정화능력 ▲삼중수소 희석 충분성 ▲이상상황시 조치 및 대응능력 ▲단계별 방사능 측정·감시의 적절성 ▲핵종 농도 측정의 신뢰성 ▲방사선영향평가의 적절성 등이다.

 

정화 능력은 물론 감시의 객관성과 이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응할 수 있는 능력, 방사선 피폭량 등의 국제기준을 충족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그럼에도 정부는 국민 우려를 감안해 촘촘한 감시태세를 유지하기로 했다.

 

우리나라 해역에 대한 방사능 감시를 92개에서 200개소로 확대하고, IAEA 검증 모니터링 TF 및 시료 교차분석 프로그램 등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관련 IAEA 검증 과정에도 계속 참여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상상황 발생시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NRA)와 원안위 간 신속한 통보 및 상황공유를 위한 체계를 마련하겠다”면서 “지난 1994년부터 수행해 온 해양 방사능 감시를 200개소로 확대해 방사능 농도를 보다 촘촘히 측정·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