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서울 공동생활권 협약, ‘매립지·GTX’ 수도권 현안 함께 푼다

김동연-유정복-오세훈, 폐기물·광역교통망 등 ‘공동현안 해결’ 맞손

image
김동연 경기도지사(가운데), 유정복 인천시장(왼쪽), 오세훈 서울시장이 11일 오후 수원특례시 팔달구 도담소에서 ‘수도권 공동생활권 협력을 위한 경기·인천·서울 업무협약식’을 마친 뒤 차담을 하고 있다. 조주현기자

 

경기도와 인천시, 서울시가 수도권매립지정책 4자 합의사항을 기본 원칙으로 수도권 폐기물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처리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의 조속한 완공과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선 등 광역철도 현안 해결을 위한 합리적 추진방안 마련에도 머리를 맞대기로 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유정복 인천시장, 오세훈 서울시장은 11일 수원특례시 내 옛 경기도지사 공관 ‘도담소’에서 ‘수도권 공동생활권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진행했다.

 

이번 협약은 도와 인천·서울이 하나의 공동 생활권임을 확인하고 수도권 주민 삶의 질 향상에 협업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현재 3개 시·도는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 종료 문제 ▲GTX, 지하철 5호선 검단·김포 연장선 등 광역 교통 현안 ▲버스·지하철 등 공공요금 인상 등 현안을 공유하고 있다.

 

image
오세훈 서울시장(왼쪽부터), 유정복 인천시장,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1일 오후 수원특례시 도담소에서 열린 '수도권 공동생활권 협력을 위한 경기-서울-인천 업무협약식'에서 협약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조주현기자

 

하지만 3개 시·도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논의는 지지부진한 상태다.

 

3개 시·도와 환경부는 2015년 6월 대체매립지 확보 추진단 구성, 환경부 자문·조정 등을 골자로 한 ‘수도권매립지정책 4자 협의체 최종합의서’에 서명한 바 있지만 2021년 대체매립지 조성 지자체 공모가 실패로 끝난 이후 별다른 진전이 없는 상태다.

 

지하철 5호선 연장선 역시 노선안 등을 놓고 김포시와 인천시가 이견을 보이고 있다.

 

김 지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3개 시·도는 2천600만 수도권 주민의 불편 해소 등 현안 해결에 실질적인 추진력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시장도 “‘오직 국민, 오직 나라’라는 대명제에 공감하면서 문제에 접근하는 자세가 필요하며 그렇게 돼야 인천은 물론 서울, 경기도 주민들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좋은 해법과 정책들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오 시장은 “정책을 수립할 때 경계선을 따라 나눠 생각하면 해결이 어렵지만 수도권 주민을 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갖고 논의를 이어간다면, 아무리 복잡한 과제라도 해결하지 못할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