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 후보지 발굴 추진

인천 남동구 구월동의 인천시청 본관.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새로운 도시재생사업 후보지 발굴에 나선다.

 

26일 시에 따르면 오는 9월30일까지 인천지역 10개 군·구의 도시재생사업 후보지 60곳을 방문, 현장 조사에 나선다. 시는 현장점검을 통해 사업 추진의 적합성을 검토할 방침이다. 시는 이를 위해 군·구 도시재생 담당자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등 용역 관계자와 함께 추진한다. 

 

앞서 시는 지난 1월부터 ‘2030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 수립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이번 현장 조사를 통해 지역의 특징을 파악하고 도시브랜드화와 상권 활성화를 이뤄낼 수 있는 후보지 별 추진전략 등 세부계획도 수립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시는 내년 6월까지 ‘2023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에 따라 원도심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재생 추진 전략을 마련한다. 시는 후보지를 산업·상업·주거·복지·행정 등 복합기능이 모인 지역거점을 조성하는 ‘경제 재생’과 인천의 고유 자산을 활용한 ‘지역 특화 재생’ 등 2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방침이다. 이어 시는 추려낸 후보지를 국토교통부에 재생사업 공모 신청을 할 예정이다.

 

시는 후보지 중 활성화 지역으로 선정이 이뤄지면 국비를 투입해 군·구별로 사업을 추진하도록 할 방침이다. 국비는 ‘경제재생’은 최대 250억원을, ‘지역특화재생’은 최대 150억원을 지원받는다.

 

최도수 시 도시균형국장은 “신규 후보지 발굴을 최대한 빨리 해, 국가 공모 사업을 서둘러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어 “이번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원도심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 1석2조의 효과를 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