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외국인 고용기업 46.4%, 현장 외국인력 여전히 부족

인천상공회의소 전경. 경기일보DB

 

인천지역 기업들이 현장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력 도입 규모 확대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상공회의소는 인천 기업 110개사를 대상으로 ‘인천지역 기업의 외국인력 활용실태와 개선사항 조사’를 한 결과, 산업 현장에선 인력의 고령화와 청년세대의 취업기피 현상 등에 외국인력을 도입하지만  여전히 부족하다고 답했다고 8일 밝혔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내년 비전문 취업 외국인력 비자(E-9) 도입 규모를 올해 11만명보다 ‘확대(50.9%)’하거나, '유지(40.9%)해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입 규모를 줄여야 한다는 응답은 8.2%에 그쳤다.

 

외국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기업(46.4%)은 고용 인원이 부족한 이유에 대해 ‘내국인의 잦은 이직과 취업기피로 인력 부족 지속(42.3%)’을 가장 크게 꼽았다. 이어 ‘고용 허용 인원 법적 한도 도달로 추가 고용 불가(17.3%)', ‘회사에 적합한 외국인력 고용 어려움(17.3%)’, ‘외국인 근로자 사업장 이탈·귀국 등 사유(13.5%)’, ‘신청인원보다 적은 인력 배정(7.7%)’ 등이 뒤를 이었다.

 

또 기업들은 ‘외국인력 제도 개선사항으로 ‘외국인 근로자 재입국 기간 완화(22.0%)’, ‘사업장별 외국인 근로자 고용 허용 인원 확대(15.2%)’, ‘사업장 변경 요건 강화(13.6%)’,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 강화(13.6%)’, ‘외국인력 도입규모 확대(12.3%)’ 등을 희망했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기업에서 더 많은 외국인력을 고용할 수 있도록, 도입 규모 확대, 사업장별 고용 허용 인원 확대, 숙련기능인력 쿼터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대부분의 기업이 외국인 근로자의 숙식비를 모두 부담하는 상황에서 산업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최저임금 차등 적용 등 개선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