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법정의무교육을 받는 직장인 10명 중 4명은 교육 영상을 절반도 보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는 지난달 21일부터 24일까지 직장인 721명을 상대로 '실제 법정의무교육 참여도 및 실효성'을 알아보고자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조사 결과, 직장인 81.6%가 회사 내 법정의무교육이 이뤄지고 있다고 답했다.
법정의무교육을 하는 응답자 중 66.7%는 온라인 교육을 한다고 답했고, 31.8%는 오프라인 집합 교육을 한다고 응답했다. 기타 방식은 15%였다.
온라인 교육 응답자에게 법정의무교육을 언제 시청하는지 묻자 '업무시간 내'라고 답한 직장인이 65.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연차, 주말 등 쉬는 날'(11%), '점심시간'(10.2%) 등 순이었다.
이들에게 단순 이수 완료가 아닌 실제로 얼마나 영상을 시청하는지 묻자 ▲전부 시청(23.2%) ▲절반 이상(25.8%) ▲절반(8.2%) ▲절반 이하(12.8%) ▲거의 보지 않음(30.1%)으로, 응답자 10명 중 4명은 교육 영상을 절반도 보지 않고 있었다.
교육 영상을 전부 보는 응답자를 제외한 이들에게 전부 시청하지 않은 까닭에 대해 묻자 '매번 똑같은 내용이라 이미 알고 있어서'(27.9%)로 가장 많았고, '이수 시간만 채우면 되는데 굳이 보고 싶지 않아서'(26.9%)란 응답이 뒤를 이었다.
법정의무교육을 받는 응답자의 56.7%는 교육 내용을 거의 기억하지 못하고 있었다.
중간 퀴즈, 본인 확인 절차 강화 등 법정의무교육을 실제 시청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추가하는 것에 대해선 ▲매우 긍정(17.3%) ▲대체로 긍정(38.4%) ▲대체로 부정(32.2%) ▲매우 부정(12.1%)으로 긍정이 55.7%로 소폭 더 많았다.
'긍정적'이라고 답한 응답자에게 이유를 묻자 '중요한 내용인데 안 보는 사람이 많아서'란 답이 40.3%로 가장 많았다.
반면 부정적이라고 답한 이들은 '복잡해지면 더 듣기 싫을 것 같아서'(60.8%)라고 답했다.
법정의무교육 효과성에 대해선 ▲매우 효과 있다(8.5%) ▲대체로 효과 있다(44.2%) ▲대체로 효과 없다(33.4%) ▲전혀 효과 없다(13.9%) 등으로 나타났다.
효과가 없다고 느낀 응답자의 47.3%에게 이유를 묻자 '교육에 집중해서 듣는 직장인이 없기 때문에'(48.7%)가 가장 많았고 '교육 내용을 실무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21.4%)가 뒤를 이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