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대표 자원 활용한 생태관광마을 육성 필요"

인천 서구 심곡동에 있는 인천연구원 전경. 인천연구원 제공

 

인천 대표 생태자원인 깃대종 등을 활용한 생태관광마을의 육성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16일 인천연구원이 발표한 ‘인천시 생태관광마을 육성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생태관광마을은 관광목적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개념이다. 인천시는 지난 2022년부터 중구 영종도, 옹진군 볼음도·대이작도 등 3곳을 생태관광마을로 선정해 육성하고 있다.

 

연구원은 우선 생태관광마을의 성공을 위해 법정 보호지역과 깃대종 등 지역의 대표 생태자원을 활용해, 유형별 대표 생태관광마을을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통해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비롯한 지원시설, 지역사회 교육 등을 추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시가 4년의 로드맵 혹은 사업계획을 검토한 후 선정해 2년 지원 후 중간 모니터링을 거쳐 후속 지원을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를 통해 생태관광마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 연구원은 생태관광마을을 효과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역사회 밀착형 중간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업 모니터링을 통한 지원사업의 성과 점검 및 고도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생태관광마을 사업의 안정적인 추진을 위한 조례와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신진범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천시의 생태관광 육성 정책은 관광, 환경, 섬‧해양 등 관련 분야의 자원과 역량의 연결‧협력 수준이 정책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이어 “관계 행정 및 기관의 협력을 통해 중장기적 긴 호흡으로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이 중요하다”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