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현이 묻고 챗GPT가 답하다! 대한민국 정치의 미래’ 출간
챗GPT를 통해 한국 정치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 대안을 제시한, 챗GPT와의 대담집 ‘조승현이 묻고 챗GPT가 답하다! 대한민국 정치의 미래 (조승현-챗GPT 공저)’가 출간됐다.
총 3부로 구성된 이 책은 1부에서 한국 정치의 현주소와 문제점을, 2부에선 문제점에 대한 해법을, 3부에선 대한민국 정치의 미래를 전망하는 내용을 담았다.
챗GPT는 “정치인에 대한 불신과 정치혐오의 원인은 정치인의 위선”이라고 진단했다. 정치, 즉 ‘사회적 가치의 배분’은 ‘종합부동산세 징수’, ‘저소득층 우선 입학’ 등 공동체의 특정 구성원의 양보를 전제로 했다.
그런데 챗GPT는 “국민들에게 양보를 강요하는 직업인 정치인이 정작 자신은 양보는커녕 탐욕스러운 모습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국민들이 정치인들을 신뢰하지 않고, 따라서 국정운영의 비효율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의원은 1년에 1억5천만원, 선거가 있는 해에는 3억원, 4년간 총 7~8억원의 후원금을 모금할 수 있고, 이 자금과 조직(보좌관 9명)을 동원해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반면, 도전자는 후원금은커녕 사무실과 직원도 둘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회의원이 자신들만 특권을 누릴 수 있는 선거법을 만들어 놓고 청년 표가 필요할 때만 ‘청년정치’를 말하는 것은 위선”이라고 챗GPT는 지적했다.
또, “국회의원 자신은 국민의 세금과 당원의 당비로 현수막을 통해 홍보를 하면서 청년정치인이 사재로 현수막을 걸면 구청에 신고해서 떼버리게 하는 것도 양두구육의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또, 챗GPT는 전관예우 부패·비리 근절 대안으로 “고위공직자 퇴임 후, 담당 업무 관련 기업·로펌 취업 원천금지” 및 “고위공직자 퇴직 후 10년 간 재취업 정보 및 재산변동 현황 공개” 등 강도 높은 해법을 제시했다.
정치의미래연구소 조승현 소장은 “챗GPT가 가진 대한민국 정치에 대한 정보들은 상상 이상이었다. 챗GPT는 대한민국 정치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인지했고, 나름 훌륭한 해법도 제시했다”고 밝혔다.
조 소장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대학교수다. 서강대학교에서 역사학와 법학을 전공했고 서강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민주당 한명숙·문재인·추미애·이해찬·이재명 당대표를 보좌하면서 특수활동비 통제법, 동물보호법 등을 입법했고, 민주당 상근부대변인, 문재인정부 청와대 행정관, 이재명 대선후보 미디어특보단 부단장 등을 역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