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1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정면충돌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이 후보자의 자녀 학교에 대한 외압 행사와 MB정권 시절 방송 장악 시도를 고리로 맹폭했고, 국민의힘은 학생들의 화해 등 내세우며 이 후보자를 방어했다.
민주당 장경태 의원은 “학폭만으로도 고위공직자 자격 박탈이라고 본다. 가해 사실은 존재하는데 학폭위가 개최되지 않고 전학을 보냈다는 것은 특혜를 준 것이다”고 비판했다.
야당 간사인 조승래 의원은 “당시 담임선생님이 언론 인터뷰에서 ‘심각한 학폭이었다’고 전했는데 이는 이 후보자의 설명과 완전히 배치된다. 명확한 진실 규명을 위해 담임 선생님을 참고인으로 출석시킬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홍석준 의원은 “학생 간 화해로 문제가 없었고, 학생들이 친구가 강제 전학하는 것을 반대한 것으로 안다. 이 후보자의 압력 행사로 학폭위가 열리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자는 “아들에게 수 차례 물어봤다. 제가 아는 선에서는 갈취 또는 휴대전화를 뺏거나 하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전했다.
이어 여야 의원들은 이 후보자의 방송 장악 주도를 두고 설전을 벌였다.
민주당 민형배 의원은 “이 후보자는 2008년 이병순 KBS 전 사장에게 전화를 걸어 아침 방송 진행자를 교체하도록 요청했다. 국정감사에서 증인을 통해 사실로 밝혀지면, 방통위원장을 그만둬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이정문 의원은 “왜곡된 언론관을 지닌 후보자에게 방통위 중립성 확보는 말도 안되는 소리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윤두현 의원은 “잘못된 뉴스가 보도됐다면 기사 작성자 또는 책임자에게 잘 설명해서 접점을 찾는 게 당연한 일이다”면서 이 후보자를 옹호했다.
김영식 의원은 “공영방송 MBC와 KBS가 공공성과 공정성을 무시한 채 정치적 편향성으로 보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자는 홍보수석 당시 국정원에 언론 장악을 지시했다는 야당의 주장에 대해선 “관여했다면 엄혹한 적폐 청산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겠나”며 반박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