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부용암 응진전 등록문화재 지정

‘부용암 응진전’이 인천시 등록 문화재에 오른다. 시 제공 

 

인천 미추홀구 수봉산 자락에 있는 ‘부용암 응진전’이 시 등록 문화재에 오른다.

 

21일 시에 따르면 부용암은 비구니 사찰로 한국전쟁 때 피난민을 위한 쉼터로 쓰였다. 부용암은 당시 전쟁고아를 돌보던 곳이다. 이곳은 한국전쟁 직후인 1958년 건립, 전통 건축 양식에서 가장 선호하는 형식보다 작은 규모로 이뤄졌다. 

 

또 시는 이곳이 전면은 겹처마로 구성하고, 후면은 홑처마로 구성하는 등 전통 시대의 건축기법과 다소 차이가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시는 이러한 건축방식이 19세기 말부터 이미 이뤄진 경향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 때문이 시 문화재위원회는 이곳에 대해 “건축양식과 규모, 예술적 가치 측면에서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으나, 한국전쟁 이후에도 과거 전통 시대의 건축구법과 의장성을 계승하려 했던 흔적이 보인다”고 해설했다. 또 “인천의 어려운 시대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 밖에도 시는 이곳이 한국전쟁이라는 어려운 상황에도 128명의 시주로 건립, 전쟁 직후 고아 보육사업을 하는 등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역사적 의미를 품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동우 시 문화유산과장은 “부용암 응진전은 한국전쟁 직후 부족한 물자와 경제적 여건 속에서 건립된 전통사찰로 당시의 시대성과 생활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근대문화유산을 꾸준히 발굴·등록하는 적극행정을 추진, 문화유산의 가치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지역에서 사찰의 전각이 국가 보물로 지정한 사례는 강화군 정수사 법당, 전등사 대웅전과 약사전이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