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IAEA 현장사무소에 한국 전문가 정기 방문…“실효적 모니터링 완성” “방류 지지·찬성은 아냐…계획과 다르게 진행하면 즉각 방류중단 요청”
정부는 오는 24일부터 개시하기로 결정한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해 “일본 측의 방류 계획상 과학적·기술적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22일 밝혔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오염수 관련 일일브리핑에서 “우리 정부는 일본 측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당초 계획대로 방류할 것이라는 점을 확인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차장은 또 우리 정부가 지난달부터 일본 측과 논의해 온 오염수 방류 관련 후속조치와 관련한 합의 내용을 공개했다.
합의에 따르면, 한일은 우선 한국 측 전문가가 정기적으로 국제원자력기구(IAEA) 후쿠시마원전 현장사무소를 방문하기로 했다.
IAEA가 오염수 방류 관련 최신 정보를 정기적으로 우리 정부에 공유하고, 화상회의도 정기적으로 개최해 각종 정보에 대한 종합적 설명을 듣고 질의응답을 진행하게 된다.
또 긴급 또는 이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도 IAEA로부터 관련 정보를 가능한 빠르게 공유받을 수 있는 연락 체계를 구축했다.
아울러 일본 측은 IAEA와 협력해 방류 이송설비의 방사선 농도, 오염수 유량, 해수펌프 유량, 희석 후 삼중수소 농도 등을 1시간 단위로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이를 한국어로도 제공할 계획이다.
앞서 우리 정부는 지난 2021년부터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주도로 일본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한 별도 안전성 검토를 진행했으며 지난달 7일 그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당시 ▲다핵종제거설비(ALPS) 필터(크로스 플로우 필터) 점검 주기 단축 ▲연 1회 ALPS 입출구 농도 측정 시 5개 핵종 추가 ▲선원항 변경 시 방사선영향평가 재실행 ▲실제 핵종 배출량을 토대로 주민 피폭선량 평가를 일본 측에 제시했다.
박 차장은 일본 측이 이들 4가지 권고사항 중 ‘ALPS 필터 점검 주기 단축’과 ‘ALPS 입출구 농도 측정시 5개 핵종 추가’는 일본 측이 현재 설비 개선을 진행 중이어서, 개선 결과를 토대로 적절성을 논의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측 필요에 부합하는 오염수 방류 감시 기제를 확보했다”며 “실효적이고 다층적인 모니터링 체계를 완성하게 됐다”고 자평했다.
다만 “우리 정부가 오염수 방류를 찬성 또는 지지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말씀드린다”며 “실제 방류가 조금이라도 계획과 다르게 진행된다면 우리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것으로 판단해 일본 측에 즉각 방류 중단을 요청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