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4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현재 연 3.5%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 2월부터 5차례 연속 금리 동결을 결정한 것이다.
이번 금리 동결은 최근 중국 부동산발(發) 리스크가 커지고 미국의 추가 긴축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다가올 경기 불안을 고려했다는 해석이다.
특히 오는 25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잭슨홀 회의 연설이 예정된 상황에서, 한은 입장에서는 통화정책의 가장 큰 변수인 미국의 추가 긴축 의지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로, 2021년 6월(2.3%) 이후 2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다만 8월 이후에는 다시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 등을 고려해 현재의 금리 수준을 유지하면서 추가 긴축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경제 성장률도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2분기 성장률(전 분기 대비 0.6%)은 1분기(0.3%)보다 높지만, 세부적으로는 민간소비(-0.1%)를 비롯해 수출·수입, 투자, 정부소비 등 모든 부문이 떨어졌다.
한은이 이날 제시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1.4%와 동일하다. 이는 지난 5월 경제전망 당시와 같은 수치다. 앞서 2월 한은은 올해 우리 경제가 1.6%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3개월 뒤 0.1%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다만 한은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5월의 2.3%에서 0.1%포인트 하향 조정한 2.2%로 제시했다. 올해 우리 경제가 저점을 찍고 반등해 내년에는 2%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보면서도 성장의 반등 폭은 예상보다 낮춘 것이다. 한은은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지난 5월 제시한 3.5%와 2.4%를 유지했다.
한편 작년 4분기와 올해 1분기 줄었던 가계신용(빚) 잔액(1천862조8천억원)은 지난 2분기 9조5천억원 증가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