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인천 바이오산업의 성장경로 특성 분석’ 3차 세미나
인천 바이오산업의 성장을 위해선 대학과의 연계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24일 인천경제연구회에 따르면 최근 인천연구원에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인천 바이오산업의 성장과정을 논의했다. 인천경제연구회는 인천연구원·한국은행·인천대학교·인하대학교가 참여해 연구를 교류하는 모임이다.
세미나의 발표를 맡은 김윤수 산업연구원 박사는 송도와 충북 오송의 바이오클러스터 현황을 비교했다. 김 박사는 “송도의 바이오산업 의약품·의료기기 제조업 분야는 대기업 위주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며 “대학과의 연계가 적을 뿐더러 중소·벤처기업과 밸류체인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인력양성 등 선순환 구조가 없다 보니 성장 측면에서 약점일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김 박사는 “반면 오송은 대학과의 연계가 약하긴 하나 연구기관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활발하다”며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상생안을 만들면서 맞춤형 투자가 필요하다”고 했다. 또 “바이오산업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규제 해소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호군 인천연구원 원장은 “바이오산업은 인천에서 경쟁력을 가진 핵심 분야다”며 “올 하반기 바이오 특화단지 지정을 앞둔 시점에서 시의 적절한 주제다”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