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지난 1년 동안 ‘긴급복지 핫라인’을 운영한 결과, 총 3천182건의 전화·문자를 접수해 이 중 2천412명에 대한 지원을 완료했다고 24일 밝혔다.
긴급복지 핫라인과 긴급복지 위기상담 콜센터로 구성된 긴급복지 핫라인은 복지 사각지대에서 세상을 떠난 ‘수원 세 모녀’ 사건 발생에 따른 대책이다. 지난해 8월25일 신설돼 생활고로 어려움을 겪는 누구나, 또는 이웃이라도 연락할 경우 지원제도 안내는 물론 제도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전날 기준 접수된 3천182건의 도움 요청을 분야별(중복 응답)로 보면 ‘생계지원’이 2천23명으로 가장 많았고 ▲의료 661명 ▲채무 396명 ▲주거 287명 ▲일자리 93명 ▲기타(교육 등) 748명 등의 순이다.
전체 약 14%인 438명이 친구와 친·인척 등 지역사회 제보로 접수된 만큼 주변인들의 도움이 복지 사각지대 발굴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족·친인척이 200명(46%), 지인·이웃 등 주변인이 238명(54%)이다.
실제로 어머니 사망 이후 홀로 남아 법적·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지적장애인, 지낼 곳 없이 거리에서 겨우 끼니를 해결하는 노숙인, 암 투병으로 생활고를 겪는 가구들이 제보로 도움을 받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