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IPA) 본부장에 또 ‘해피아’ 예고

해수부 출신 인사 유력… “IPA 지방정부 이양 어려워” 우려

인천항만공사. 경기일보DB

 

인천항만공사(IPA)의 후임 운영본부장에 또다시 해양수산부 출신 인사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인천지역 사회의 우려 목소리가 높다. 이 같은 ‘해피아(해수부+마피아)’ 낙하산 인사가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IPA의 지방정부 이양 등에 역행하기 때문이다.

 

27일 IPA와 인천 항만업계 등에 따르면 IPA는 현재 공석인 인천항의 운영을 총괄하는 운영본부장 임명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 절차를 마치고, 해수부에 최종 후보군에 대한 인사검증을 의뢰했다. IPA는 약 1개월 안에 해수부로부터 최종 후보자 선정 결과를 받으면 임용 절차를 밟는다. 항만 업계에서는 현 해수부 산하 A지방해양수산청장인 B씨가 유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 안팎에선 이 같은 인사에 대한 우려가 크다. 앞으로 IPA가 인천항 운영과 관련한 정책을 추진할 때 인천시를 비롯한 지역사회와 소통이 잘 이뤄지지 않는 데다, 인천항의 현안을 해결할 수 있을 지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B씨는 인천과 아무런 연고도 없는 데다, 그동안의 근무 경력 등도 인천과의 연관성은 없다.

 

특히 인천은 민선 8기 들어 IPA의 지방정부 이양에 대한 목소리가 높은 점도 이 같은 우려를 키우고 있다. 시와 지역사회는 인천 곳곳에 있는 준설토 투기장에 대한 공적 기능을 높이기 위해 현재 중앙정부 소속인 IPA를 가져와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해수부 출신이 운영본부장을 맡으면 이 같은 지역의 목소리는 더욱 반영이 어려워질 수 밖에 없는 탓이다.

 

여기에 인천지역에선 인천신항 배후단지에 대한 해수부의 민간개발 분양방식 추진에 따른 민영화(사유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지만, B씨는 해수부의 입장만 대변할 가능성이 크다.

 

IPA의 한 관계자는 “올해 초에도 한 지방해수청장이 퇴직하고, 지방항만공사 본부장으로 옮겼다”며 “지역 사정도 모르는 해수부 인사가 공직 막판에 지방항만공사를 거쳐가는 관행을 깨야 한다”고 말했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B씨가 낙하산으로 IPA 운영본부장에 들어오면 결국 IPA는 스스로 제 역할도 못하고, 자신들의 목소리도 내지 못할 것”이라며 “이는 인천지역사회의 시대적 요구를 역행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같은 반복적인 해피아 문제로 IPA를 지방정부로 이양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IPA 관계자는 “현재 채용 절차를 밟고 있는 상황이어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