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어김없이 민족 최대 명절 중 하나인 추석이 다가왔다. 통상적으로 이 시기에는 한동안 찾아 뵙지 못한 조상 묘를 찾아 인사를 드리곤 한다.
특히 추석을 2~3주 앞두고는 장기간 관리하지 못해 얼기설기 늘어진 묘 주변 잡초들을 뽑아내는 벌초 작업이 빈번히 이뤄진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풀을 깎는 예초기를 잘못 이용해 상해를 입는 벌초객도 많다.
안전하게 벌초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한가위 무렵, 예초기 사고를 막기 위한 방법을 소개한다.
◆ “풀 깎다가 피 철철”…안전하게 벌초하려면
8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농촌진흥청이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조사'를 진행한 결과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농기계 사고로 하루 이상 휴업한 손상사고 건수는 1만2천900여 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예초기 사고는 전체의 17.2%로, 경운기 사고 다음으로 많았다.
특히 성묘 전 벌초 작업이 이뤄지는 9월은 예초기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2020~2022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신고된 예초기 안전사고는 전체 219건이다. 월별로 따져보면 9월에 발생한 사고만 73건(33.3%)으로, 가장 집중된 경향을 보였다.
사고 피해 유형별로 봤을 때 가장 많은 사례는 신체 일부분이 찢어지는 '열상', 절단되는 '절상'이 전체의 89%(195건)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10건 중 9건 정도는 모두 열상 또는 절상인 셈이다. 단순 칼날과 다르게 예초기 칼날은 흙과 먼지 등 이물질로 오염된 경우가 많아, 상처를 입을 경우 세균 감염이 되기 쉬워 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 같은 사고를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예초기 사용 전엔 작업 장소 주변 떨어진 돌, 나뭇가지 등 이물질을 정리해야 한다. 예초기 날에 부딪혀 이물질이 안구 등 신체에 튀어 상해를 입을 수 있어서다. 안면 보호구, 작업화, 보호안경, 무릎보호대 등 안전 장비 착용을 의무화한다. 또 이물질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긴 옷을 입는다.
작업 목적과 용도에 맞는 날을 준비하고 예초기 보호 덮개를 반드시 부착한다. 칼날 부착 상태와 예초기 접합 부분 볼트나 연결핀 체결 여부를 확인한다. 전기충전 예초기 배터리는 차량 실내, 전열기기 주변 등 발열 공간에 보관하지 않는 게 좋다. 또 충전 케이블이 손상되면 합선될 수 있어 케이블이 심하게 꺾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제조사별로 사용되는 배터리 종류가 다르므로 반드시 제품에 맞는 배터리를 이용해야 한다.
비산물이 튈 수 있어 작업 반경 15m 이내엔 타인이 접근하지 않도록 사전에 알린다.
예초기를 사용하면서는 날이 돌이나 비석 등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고, 날에 이물질이 끼었을 때, 비정상적인 작동을 할 때는 반드시 작업을 멈춘 후 전원을 끄고 문제를 해결한다. 이때는 반드시 장갑을 낀 채 살핀다. 다른 장소로 옮길 경우에도 전원을 끄고 이동한다.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비가 오는 경우 야간에는 작업을 삼가하고, 경사로면에서 작업 할 때는 미끄러지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더욱 주의한다.
◆ 사고 발생했다면…“생리식염수로 상처 부위 씻어내고, 즉시 병원으로”
하지만 예측하지 못한 상황은 늘 일어나곤 한다.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음에도 예초기로 인한 사고를 당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상처 부위는 흐르는 물 또는 생리식염수로 씻어내야 한다. 예초기 날에는 이물질이 많아 세균을 씻어내는 게 좋으며 손으로 문지르거나 만지는 등 행위는 2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 삼가한다.
특히 민간요법으로 상처 부위를 소독하겠다며 소주 또는 된장을 이용하는 이들도 있는데, 소주는 세균을 소독할 정도의 알코올 성분이 없다. 오히려 상처 부위를 자극해 피부 회복을 늦출 수 있어 해당 행위는 자제해야 한다.
상처 부위는 감싸서 지혈하되, 5분 이상 지혈되지 않을 경우 병원을 찾아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상해 정도가 심할 경우는 즉시 병원을 찾는다.
엄중식 가천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예초기에 의한 상해를 입은 경우 생리식염수로 상처 부위를 씻어내거나, 가급적 넓은 면 또는 천으로 열상 주변 부위를 묶어 (상처를) 덮고 출혈이 나지 않도록 조처한 뒤 즉시 병원을 찾는 게 중요하다”며 “간혹 생리식염수나 깨끗한 천이 없는 상황에서 지혈을 위한 목적으로 위생적이지 못한 수건 등을 열상 부위에 대고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이 있는데, 이 경우 2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