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기업들이 지금이라도 경영 및 전략에 디지털 시스템을 접목시켜야 합니다.”
이상목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원장은 20일 오전 인천 연수구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열린 ㈔남동경협 인천산업단지 CEO 아카데미 제16회 아침특강에서 “디지털 솔루션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이 같이 강조했다.
특히 이 원장은 “인천의 제조기업 중 대량 생산을 수익 모델로 하는 곳은 디지털 전환이 꼭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품질에 초점을 맞춘 세계 소비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종전의 생산체제를 버리고 디지털 방식의 근본적 경영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이미 세계 유명 제조 기업들이 디지털로 전환하고 있는 것을 사례로 설명했다. 그는 “트랙터 판매 회사가 농업솔루션 기업으로, 화학약품 기업은 소비자의 건강을 셀프케어하는 기업으로 변한 것이 대표적인 예”라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전환은 소비자가 기업의 수익 상품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돕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며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해 기업의 운영체제를 디지털로 바꾸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스타벅스도 디지털 전환 사례의 대표적인 기업”이라며 “기프트콘 할인을 통해 소비자가 대량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마일리지로 백화점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선진국들의 스마트 공장들도 고객 니즈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 중”이라며 “생산설비, 이송장치, 부품소재 등을 다품종 소량 생산 주문에 맞춰 가동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인천지역 제조기업들의 변화를 주문했다. 이미 대량생산을 위주로 해왔던 세계 제조 시장은 1960년대 이후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고, 현재는 1% 밑으로까지 내려 앉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아닌 국가들도 제조업 성장률은 2.5% 미만으로 추락하고 있다.
이 원장은 “이제 미래의 생산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운영 체제를 갖춰야 한다”며 “과거에 갖고 있던 성장 모델을 주축으로 새로운 경영을 위한 디지털 전환으로의 변화를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남동경협은 남동국가산업단지를 비롯해 인천지역 산업단지 입주 기업인들의 리더십 향상을 위해 매월 1회 명사를 초청해 CEO 아카데미 아침특강을 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