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산경위, 인하대·인천경제청 송도캠 수익 용지 계약 논란 중재 나서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는 인하대학교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송도캠퍼스 지식기반서비스용지 논란에 대한 중재에 나섰다. 인천시의회 제공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인하대학교가 송도캠퍼스 수익 용지 계약을 놓고 갈등(경기일보 14·15일자 1면)을 빚는 가운데, 인천시의회가 양측 간의 중재에 나서고 있다.

 

24일 시의회에 따르면 산업경제위원회는 최근 별관 4층 세미나실에서 인하대 송도캠퍼스의 수익 용지 계약 문제를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는 국민의힘 김대중(미추홀2)·박창호(비례) 시의원을 비롯해 인천경제청과 인하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현재 수익 용지인 송도 11공구 지식기반서비스 용지 4만9천500㎡(1만4천평)에 대해 인천경제청은 ‘절차적 재확인’을, 인하대는 ‘협의 중’이라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이날 산업위는 양측 모두에게 귀책사유가 있다고 판단했다. 인천경제청과 인하대가 송도캠퍼스 부지 매매 계약 당시 넣은 수익 용지 매매계약 시점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산업위는 특히 인천경제청이 협의 도중 사실상 인하대와 수익 용지에 대한 협의를 하고 있다는 취지의 공문을 보낸 점, 그리고 인하대는 그동안 소극적으로 협의에 나선 점 등을 꼬집기도 했다.

 

김 시의원은 “우선 인천경제청과 인하대 양측의 소통의 문제가 있다”며 “소통 창구를 일원화해 올해 안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수익 용지 문제로 인하대 송도캠퍼스 조성이 백지화한다면, 이는 인천 전체적으로도 큰 손해”라며 “계약 내용을 수정할 부분이 있다면 협의를 통해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인하대는 송도캠퍼스 조성을 위해 지난 2013년 인천경제청과 송도 11공구 교육연구용지 22만5천㎡(6만8천평)를 1천77억원에 사들이는 계약을 했다. 당시 수익 용지인 송도 11공구 지식기반서비스 용지 4만9천500㎡(1만4천평)는 송도캠퍼스 부지의 소유권 보존등기일로부터 6개월 안에 매매 계약을 하는 조건을 담았다. 계약에 따라 인하대는 인천경제청과 2017년 4월까지 수익 용지 매매 계약을 했어야 했지만 7년여가 지나도록 하지 못했고, 4천억원에 이르는 송도캠퍼스 건립비 마련이 요원해 백지화 위기에 놓여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