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26일 영장심사… 정국 분수령

구속땐 민주당 친명·비명 내홍...책임 놓고 충돌, 분당 가능성도
기각땐 국힘 역풍 우려에 ‘촉각’...윤석열 정권 심판 압박 거셀 듯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앞둔 25일 오전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의 검찰기가 바람에 흔들리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인천 계양을)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이 26일 이뤄질 예정인 가운데 인용(구속)이든 기각이든 정치권에 거센 후폭풍을 일으킬 전망이다.

 

민주당은 이 대표가 구속될 경우 친명(친 이재명)계와 비명(비 이재명)계 간 내홍으로 분당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여당인 국민의힘은 기각될 경우 내년 총선에서 윤석열 정권을 심판해야 한다는 역풍을 맞을 수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이 대표가 구속되면 체포동의안 가결에 이은 구속의 책임을 비명계에 돌리는 친명계의 비난 수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친명계 지도부가 ‘배신자 처단’을 내세워 비명계 의원들에게 대한 징계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나오면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요구하는 비명계와의 충돌이 불가피하다.

 

특히 친명계는 강성 지지층의 요구대로 이 대표에 대한 ‘석방 요구 결의안’을 추진하며 비명계 참여를 압박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비명계가 사실상 친명계의 탈당 압박에 대거 탈당을 선택할 경우 분당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으나, 비명계의 구심점이 없다는 지적이 많아 탈당에 이어 분당에 이를지는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여당인 국민의힘도 이 대표의 영장 심사 결과와 민주당의 내홍을 주시하고 있다.

 

이 대표가 구속될 경우 민주당의 분당 가능성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내년 총선 영향을 예의주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의 대여 투쟁이 격화되면서 각종 현안에 대한 특검과 국정조사 압박이 더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여야 협치가 더욱 멀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민주당 등 야당이 지난 4월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지정한 이른바 ‘쌍특검’(대장동 50억 클럽·김건희 여사 특검) 법안을 올해 말 본회의에서 통과시켜 윤 대통령과 여당을 압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이 대표에 대한 영장이 기각될 경우에는 무리한 검찰 수사에 대한 거센 역풍이 불면서 여당은 수세에 몰릴 가능성이 높다.

 

야당은 기사회생하는 이 대표를 필두로 정치검찰과 윤석열 정권을 내년 총선에서 반드시 심판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여당은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는 한편 책임론도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