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청과 ‘토지매매계약’ 사인...2030년까지 ‘메가 플랜트’ 건설 셀트리온·삼바·SK바이오 이어 대규모 ‘항체 의약품’ 생산시설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11공구에 조성하는 바이오의약 ‘메가플랜트 건립’을 본격화한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4일 서울 롯데월드타워에서 롯데바이오로직스와 20만2천285㎡(6만1천평) 규모의 Ki20 부지에 대한 토지매매계약을 했다. 이날 김진용 인천경제청장과 이원직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는 계약서에 각각 서명을 했다.
이에 따라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오는 2030년까지 송도에 3개의 메가플랜트를 건설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총 36만ℓ 항체 의약품 생산 규모 역량을 국내에 갖출 예정이다. 또 임상 물질을 생산하는 소규모 배양기와 완제 의약품 시설 확보도 검토하고 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이들 메가플랜트의 전체 가동을 오는 2034년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미국 시러큐스 플랜트까지 포함하면 총 40만ℓ 생산 규모를 갖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우선 내년 1분기에 1공장 착공을 목표로 현재 인허가 및 협력 업체 선정 등을 추진하고 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오는 2025년에 1공장을 준공한 뒤, 2027년 2공장·2030년 3공장까지 준공할 예정이다.
특히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이 곳에 바이오벤처 이니셔티브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벤처기업에 입주공간과 연구장비를 제공하고, 글로벌 기업의 기술지원을 한다. 또 엑셀러레이터(AC)의 사업화 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롯데바이오로직스에 메가플랜트가 들어서면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에스케이(SK)바이오로직스 등과 함께 송도가 바이오 산업 집적 단지로 우뚝 설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지난 3월엔 ‘K-바이오 랩허브’ 조성 사업이 본격화하고,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와 글로벌 바이오캠퍼스 메인 캠퍼스 도시 선정 등의 바이오 관련 인프라가 속속 들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경제청은 이를 통해 인천시가 추진하는 바이오 전략산업 특화단지 유치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인천경제청은 지난 6월 롯데바이오로직스 등과 메가플랜트 건립 등을 위한 업무협약을 하는 등 추진계획과 협력사항을 논의해왔다.
김 청장은 “롯데바이오로직스의 메가플랜트 건립으로 송도가 세계가 주목하는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로의 입지가 확고해졌다”며 “시설 건립과 사업 운영이 차질 없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