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경상수지 넉달 연속 흑자…수입 축소 영향

누적 경상수지 흑자 109억8천만달러…지난해보다 폭 감소
본원소득수지 14억7천만달러 흑자…배당소득 흑자 규모는 급감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줄면서 경상수지가 넉 달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 경상수지는 48억1천만달러(약 6조4천839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사진은 이날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 하는 모습. 연합뉴스

 

8월 경상수지가 4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지만, 수출보다 수입이 더 줄은 ‘불황형 흑자’ 성격을 띠었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8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8월 경상수지는 48억1천만달러 흑자로 집계되며 4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하지만 지난 6월과 7월에 이어 다시 한번 수입이 수출보다 더 감소한 ‘불황형 흑자’로 나타났다.

 

1∼8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109억8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236억6천만달러)보다 흑자 폭이 감소했다.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가 50억6천만달러로 지난 4월 이후 5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537억5천만달러)은 전년 동월 대비 6.5%(37억1천만달러) 감소했다. 승용차(28.1%)와 기계류·정밀 기기(6.0%) 등이 증가했으나, 석유제품(-35.1%)과 반도체(-21.2%) 등이 줄어든 탓이다.

 

지역별로는 중동(7.0%), 유럽연합(2.7%), 미국(2.4%)으로의 수출이 늘고 중국(-20.0%), 중남미(-11.0%) 등으로의 수출은 감소했다.

 

수입(486억8천만달러)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0% 줄었고, 수출보다 감소 폭이 컸다. 원자재와 자본재, 소비재 수입이 각각 27.6%, 16.2%, 19.0% 감소했는데, 수송 장비(4.3%)를 제외한 나머지 품목의 수입이 전부 축소됐다.

 

서비스수지는 여행(-11.4%) 등을 중심으로 16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본원소득수지는 14억7천만달러 흑자였지만, 지난해 8월(25억9천만달러)과 지난 7월(29억2천만달러)에 비해 흑자 폭이 줄었다. 특히 배당소득(5억6천만달러) 흑자 규모가 7월(25억6천만달러)에 비해 5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