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한-사우디 투자포럼 “양국 협력, 강력한 시너지될 것” 이재용·정의선·김동관 기업 총수 총 망라
사우디아라비아를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이제 양국 간 협력관계도 원유, 건설 협력을 넘어 제조업, 스마트 인프라, 청정에너지 등 ‘비전 2030’과 관련된 전(全) 분야로 파트너십을 확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리야드 내 한 호텔에서 개최된 한-사우디 투자포럼에서 “첨단 기술력과 성공적인 산업발전 경험을 보유한 한국과 풍부한 자본과 성장 잠재력을 갖춘 사우디가 손을 잡으면 그 어느 나라보다도 강력한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윤 대통령은 “킹 살만 산업단지에는 조선소부터 주단조 공장, 선박엔진 공장에 이르기까지 조선산업 전 주기의 생태계가 하나둘 완성되어 가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현대 자동차는 킹 압둘라 경제 단지에서 곧 자동차 공장 건설을 시작해 2026년이 되면 최초의 한-사우디 합작 전기차가 탄생되게 된다”며 “그밖에 AI, 바이오, 자원재활용 등 신산업 분야에서도 양국 기업 간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양국 정부가 국제사회에 선언한 탄소중립의 목표는 양국 기업 간 청정에너지 협력의 촉매제가 되고 있다”고 평가하며 “특히 수소 생산에 방점이 있는 사우디와 수소의 유통 활용 측면에서 최고 수준인 대한민국의 기술이 힘을 합치면 글로벌 수소경제를 선도해 나갈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오늘 양국 기업이 합의한 블루암모니아 생산 프로젝트와 수소 모빌리티 협력사업은 본격적인 수소 협력의 서막에 불과하다”며 “양국 정부가 합의한 수소 오아시스 이니셔티브는 청정수소의 밸류체인 전 분야에 걸쳐 양국기업 간 협력을 뒷받침하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네옴, 키디야(엔터테인먼트), 홍해의 메가 프로젝트에서도 양국 기업 간에 협력사업이 구체화되고 있다”면서 “미래를 내다보는 사우디의 과감한 투자와 대한민국의 첨단기술과 문화콘텐츠가 결합한다면 상상의 도시가 현실의 도시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사우디 측에서 우리나라 대표적인 기업의 총수가 참석해 관련 부처 장관들, 사우디의 국부펀드 운영 책임자들과 직접 대화할 수 있게 하고 싶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