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첨되면 뭐하나"... 인천 공공아파트 착공 '하세월'

본청약 신청 고작 6.4%

경기도의 한 아파트 단지 이미지. 해당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인천지역 공공아파트의 사전청약 이후 착공 지연 문제로 인해 본 청약까지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7일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사전청약 실시·결과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7월에서 올해 6월까지 공공아파트 사전청약 물량은 4만4천452가구다.

 

하지만 지난달 기준 본청약 신청자 수는 2천819명으로 전체 가구의 6.4%에 그쳤다. 최종 계약까지 마무리 한 곳은 2천306가구로 5.2%에 불과했다.

 

이는 사전청약을 받은 당첨자들이 아파트 건설시장 악화 등으로 착공 등이 지연하자 결국 본청약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현재 3기 신도시 공공아파트 사전청약 사업블록 82곳 중 25곳(30.5%)의 사업이 지연하고 있다.

 

인천 역시 가정2지구가 건설사업관리용역사 선정 지연 문제로 사전청약 당첨자들이 무더기로 본 청약을 포기했다. 또 계양 A2~A3 등 2곳에서 아파트 단지 설계에 대한 안전성 추가 검토 문제로 무더기 이탈자들이 나오기도 했다.

 

이들 아파트들은 국토부가 계획을 발표한 지난해 초 물량의 추정 분양가를 주변 시세의 60~80% 수준으로 낮게 책정하면서 서민들에게 높은 인기를 얻던 곳이다.

 

김병욱 의원은 “착공과 본청약을 지속적으로 연기하는 건 무주택 서민과 신혼부부에게 희망고문을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토부는 사업지연이 발생하지 않는 택지를 중심으로 사전청약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공공주택을 조기 공급해 사업 지연 가능성을 해소하겠다”고 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의 대표 공공분양주택 브랜드 ‘뉴홈’은 입지가 우수하고 사업 변경 가능성이 낮은 곳을 대상으로 선별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