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H, 사업추진 절차 연내 마무리...산업용지 일부 복합용지로 전환 市와 공동 사업시행자로 변경...내년 착공 허가 등 속도
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의 인천로봇랜드 조성 사업이 14년만에 본 궤도에 오른다.
조동암 인천도시공사(iH) 사장은 15일 “인천로봇랜드 조성 사업 추진에 필요한 조성실행 계획 마련 등 절차를 올해 안에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모든 사업을 주관해서 추진하겠다는 협약을 한 만큼 내년 시의회에 사업시행자 참여 등을 보고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iH는 수익성이 낮은 산업용지 일부를 수익을 낼 수 있는 복합용지로 바꿀 예정이다. 복합용지는 수익성이 높은 오피스텔 등을 지을 수 있다. iH는 내부적으로 산업용지 21만7천㎡(6만5천757평) 중 5만㎡(1만5천151평) 규모의 부지를 복합용지로 변경하는 조성실행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이후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해 최종 승인을 받을 방침이다.
또 iH는 내년 인천로봇랜드 관련 기반시설 착공을 목표로 공동 사업시행자로 변경한다. 현재는 인천시가 단독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인천시는 지난 8월 인천로봇랜드 조성 사업 정상화를 위해 iH, 특수목적법인(SPC)인 ㈜인천로봇랜드와 업무 협약을 했다. 이 협약은 iH가 공동사업시행자로 참여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다만, 인천시의회 등에서는 ‘iH가 인천로봇랜드의 건설투자자(CI)를 포함한 협약을 유지한 상태에서 과연 속도를 낼 수 있느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용창 인천시의원(국민의힘·서구2)은 “인천로봇랜드 사업이 현재까지 차일피일 미뤄진 데에는 SPC의 역량 부족과 문제적 상황이 함께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이어 “SPC를 그대로 함께 데리고 가는 구조에서 과연 속도를 낼 수 있을까 의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내년 4월에는 산자부로부터 허가를 받아 착공을 하겠다는 구상이 와닿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인천로봇랜드 사업은 지난 2020년 테마파크 비율을 대폭 줄이는 조성실행계획의 변경까지 이뤄졌지만, SPC는 사업을 추진하지 못했다.
이에 대해 조 사장은 “이제 SPC에게만 맡겨 놓은 형태의 사업 구조는 아니”라며 “더이상 인천로봇랜드 사업이 지연하지 않도록 책임감을 갖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2009년부터 서구 청라동 155의11 일대 76만9천279㎡(23만2천706평) 규모로 로봇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인천로봇랜드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