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국 최초 광역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구축’ 대통령상 ‘영예’

이배석 경기도 교통정보과장이 행정안전부 개최, ‘2023 정부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뒤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과 악수를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이배석 경기도 교통정보과장이 행정안전부 개최, ‘2023 정부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뒤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과 악수를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광역 긴급차량 신호체계 표준화 구축 성과를 인정받아 대통령상의 영예를 안았다.

 

경기도는 대형 재난상황 발생시 지역 경계를 넘어 긴급 출동할 수 있는 ‘광역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구축’으로 ‘2023 정부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적극 행정을 통한 변화·혁신 성과를 발굴·전파해 규제행정 행태·문화 개선 등 공직문화 혁신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경진대회에는 전 행정기관(중앙부처‧자치단체‧교육청) 및 공공기관 등에서 제출한 588여 건의 정부혁신 우수사례가 접수됐다.

 

이 중 전문가심사, 온라인 국민심사 등 예선을 거쳐 13건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국민평가단과 전문가 심사를 거쳐 경기도가 사회 안전 및 복지서비스 강화 등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돼 대통령상의 영예를 안았다.

 

경기도의 ‘전국 최초 광역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구축’은 대한민국 어디서나 지자체 경계 없이 긴급차량 출동을 돕도록 우선신호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대형 재난상황(화재, 사고, 구급 등) 발생 시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한다는 점, 기존에 지역을 넘어가면 작동되지 않았던 시스템을 표준화시키고 전국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도는 시스템 설치를 완료한 고양시와 파주시를 대상으로 운영 실태 파악한 결과, 긴급차량들이 일 평균 130여 차례 출동했다. 출동 시간도 약 40%로 감소하는 등 골든타임 확보에 한 단계 더 가까워졌다고 설명했다.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은 “‘광역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은 대형 재난상황 발생시 지역 경계를 넘어 긴급출동할 수 있는 혁신적인 시스템”이라며 “도민의 소중한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오는 2026년까지 경기도 전역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