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원 응용화학생명공학과·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원(KIST)·㈜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 공동 연구팀은 선천면역의 활성화를 통해 차세대 면역항암제로 활용될 수 있는 ENPP1 억제 화합물을 발굴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공동 연구팀은 선천면역 조절과 관련 있는 스팅(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을 활성화 시키는 경구 투여 ENPP1 저해 저분자 화합물을 발굴했다.
이 물질은 STING 경로를 활성화를 통해 인터페론 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촉진했고, T세포를 매개로 한 선천면역 반응을 유도했다. 이에 따라, 암세포에 대한 면역반응성이 높아져 암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연구팀은 동물 모델을 통해 확인했다. 특히 면역관문억제제(anti-PD-L1)와 병용 투여 시 면역관문억제제를 단독 투여할 때보다 높은 항암 효능을 나타냈다.
또 암세포를 재이식해 암 재발을 유도하는 실험에서도 추가적인 약물 투여 없이 암세포가 사멸하거나 거의 자라지 않는 우수한 면역항암 지속 효능을 보였다.
아주대 공동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면역관문억제제,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 기존 표준치료와 연계된 병용 치료요법 또는 단독 투여요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가 앞으로 더욱 발전되어, 면역항암제가 적용될 수 있는 암의 종류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암세포의 낮은 면역반응성으로 면역항암제 사용이 쉽지 않았던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의 기초가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국가신약개발사업단, 보건산업진흥원, 대학중점연구소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의약화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인 ‘저널 오브 메디시널 케미스트리(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1월호 부표지 논문(Supplementary Cover)으로 선정됐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