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가 지속되면서 노인을 가르는 사회적 연령대 기준이 상향되고 있다. 경기도도 최근 ‘어르신’이라는 호칭을 ‘선배시민’으로 바꾸는 내용을 담은 ‘선배시민 지원조례’를 공표했다.
뜬금없는 물음이겠지만 노후 생활비는 얼마가 적정할까. 이 질문에 한 민간 경제연구소가 월 369만원이라는 대답을 내놨다. 올해 이 연구소가 전국 20~79세 남녀 3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이 결과에 따르면 노후 최소 생활비는 평균 월 251만원, 여행·여가 활동·손주 용돈 등에도 지출할 수 있는 적정 생활비는 월 369만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 당시 결과와 비교하면 최소·적정 생활비는 각각 76만원, 106만원이 늘었다. 하지만 현재 연금을 포함한 가구소득과 저축 여력 등을 감안할 때 최대한 조달할 수 있는 노후 생활비는 평균 월 212만원이라고 응답했다. 이들이 판단하는 최소 생활비(251만원)에도 못 미치는 데다 적정 생활비(369만원)의 57.6% 수준에 그친다. 노후를 지내기에는 157만원이나 부족한 셈이다. 이론과 현실의 격차가 심하다.
직장을 은퇴하는 희망 나이도 실제와 현실이 엇갈리고 있다. 민간 경제연구소가 최근 은퇴하지 않은 2천4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들이 원하는 퇴직 평균연령은 평균 65세였다. 그러나 이미 은퇴한 409명의 실제 퇴직 나이는 희망보다 10년이나 이른 평균 55세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조사 대상자의 절반이 넘는 52.5%는 “아직 노후를 대비한 경제적 준비를 시작하지 못했다”고 대답했다. 이와 함께 노후 거주지의 첫 번째 요건으로 꼽은 건 의료시설이었고 쇼핑시설, 공원 등 자연환경, 교통 등의 순으로 지목됐다.
우리 사회에 닥친 현안은 극복해야 한다. 노후 적정 생활비 해소 방안도 그중의 하나다. 젊은이들도 머지않은 미래에는 ‘선배시민’이 된다. 복지당국의 혜안이 시급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