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미추홀‧부평‧남동구 '재난약자' 많아... 맞춤형 ‘복지 거버넌스’ 시급

기초생활보장수급 홀몸노인... 부평구 > 남동구 > 미추홀구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장애인 부평구 ‘최다’… 남동구 ‘2위’

인천 남동구 구월동 인천시청 전경. 인천시 제공
인천 남동구 구월동 인천시청 전경. 인천시 제공

 

인천 미추홀·부평·남동구에 홀몸어르신을 비롯한 기초생활수급자·장애인 등 재난 약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안팎에서는 이 같은 재난 약자를 지원하기 위한 ‘재난복지 거버넌스’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지역의 65세 이상 어르신 숫자는 최근 10년 동안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 중 홀몸어르신은 9만8천270명으로, 특히 부평·남동·미추홀구에 절반 이상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홀몸어르신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2만9천581명(30.1%)이다. 기초생활보장수급 홀몸어르신 역시 부평구(6천191명), 남동구(5천700명), 미추홀구(4천472명) 등에 많이 살고 있다. 또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중 장애인 수는 부평구가 3천702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남동구 3천503명이다.

 

여기에 한부모가족 가구 역시 지역별로 미추홀구와 남동구가 각각 755가구, 754가구로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많다.

 

이들 대부분 신체적·경제적인 문제로 재난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해 재난 약자로 분류한다.

 

이 때문에 지역에서는 재난에 따른 불평등은 일시적 현상이 아닌 구조적 한계로 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따라서 재난약자들을 위한 ‘재난복지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앞서 인천연구원이 지난 7월 추진한 재난복지 관련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49.1%가 재난 취약계층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이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조성윤 인천연구원 경제환경연구부 연구위원은 “재난이 발생할 때 지원사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밀접한 중간조직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재난복지 관련 사업을 촘촘하게 만들기 위한 제도적 기반도 필요하다”며 “지역단위 재난복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