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술로 개발한 고체 연료 우주발사체 3차 시험발사가 성공했다.
국방부는 4일 오후 2시 제주도 중문 해안에서 4㎞ 떨어진 바지선에서 발사된 고체 연료 발사체가 성공적으로 우주 궤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곧 지상국과 교신할 예정이다.
지난해 3월과 12월 1·2차 시험발사 성공에 이어 세 번째 시험발사이지만 실제로 위성을 탑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탑재된 위성은 한화시스템에서 개발한 100㎏짜리 지구관측용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이다. 지난 1·2차 시험발사에서는 모의 위성을 탑재했었다.
또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 중인 고체 추진 우주발사체는 1~3단은 고체 연료, 4단은 액체 연료를 사용한다. 1차와 2차 발사 때는 2·3·4단 추진체를 시험했고, 이번에는 1·3·4단 추진체를 시험했다.
2025년 예정된 마지막 시험발사 때는 1~4단 추진체를 모두 갖추고 실제 위성을 쏘아 올리게 된다. 이번에 발사된 고체 발사체의 경우, 무게 500~700㎏의 위성 탑재가 가능한 수준이지만 국방부는 최종적으로 탑재 중량을 1천500㎏까지 늘릴 계획이다.
국방부측은 "3차 고체 연료 시험발사 성공으로 소형 위성을 지구궤도에 투입하는 독자적 능력에 있어 진전을 이루게 됐다"며 "개발이 완료되면 우리 군은 안보 수요와 긴급 상황에 대응해 관측, 정찰을 위한 소형 위성을 적기에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군 당국은 고체 연료 우주발사체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민간에 해당 기술을 이전할 방침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