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삼성 축구 꼴등, 이게 삼성의 모습인가

축구 하면 떠오르는 기적의 역사가 있다. 프랑스 4부리그 소속 칼레 축구팀이다. 1999~2000 시즌 ‘쿠프 드 프랑스’ 결승에 올랐다. 프로와 아마추어의 최강팀을 가리는 토너먼트 대회였다. 비싼 몸값의 선수는 한 명도 없었다. 슈퍼마켓 사장, 할인마트 직원, 항만노동자 등이 주전이었다. 명문 낭트와의 결승전을 자크 시라크 대통령도 참관했다. 칼레가 패하자 시라크 대통령이 이렇게 말했다. ‘낭트는 결승전의 승리자이며, 칼레는 정신력의 승리자다.’

 

수원삼성 축구단이 2부 리그로 강등됐다. 2023 시즌에서 1부 리그 최하위를 기록했다. 마지막 경기를 응원하러 수많은 서포터스가 찾았다. 강등이 확정된 뒤 경기장은 분노와 슬픔으로 가득했다. 선수들은 울었고 서포터스들도 울었다. 일부 관중은 경기장에 난입을 시도했다. 선수단을 태운 버스가 한 시간 동안 움직이지 못했다. 대표이사 퇴진, 감독 퇴진 등 구호가 난무했다. 왜 안 그렇겠나. 창단 28년 만에 겪게 된 수모다. 축구 왕국의 몰락이다.

 

칼레의 기적? 정신력의 승리? 그건 FA컵 같은 단기전에서나 가능하다. 40여차례 경기를 치르는 시리즈에서는 불가능하다. 호화 멤버로 꾸려진 강팀이 결국 모든 걸 가져간다. 수원삼성이 쌓아 올린 금자탑은 화려하다. 1995년 창단 이후 곧바로 명문팀이 됐다. 네 차례의 리그 우승, 다섯 차례의 FA컵 우승, 아시안슈퍼컵 2연패, 아시안클럽컵 2연패 등의 역사를 썼다. 그 시절 수원삼성은 투자도 1등이었다. 몸값 비싼 선수는 모두 삼성에 있었다.

 

2014년 구단 운영 주체가 바뀌었다. 투자가 사라졌고 무너지기 시작했다. 우리가 축구단에 대한 투자를 삼성그룹에 강제할 논리는 없다. 그 또한 기업의 선택이고 방향이다. 그럼에도 서포터스의 분노, 수원시민의 실망이 전하는 유감은 분명하다. 한결같이 곁을 지킨 삼성 블루윙즈 서포터스다. 강등이 유력한 마지막 경기까지 찾아가 목청 높여 응원했다. 수원시·시민의 지지 또한 변함없다. 시민 재산인 빅버드 축구장을 내주며 약속을 지켰다.

 

보자. 텔레비전 만드는 회사가 있다. 매출 1등 달리다가 매출 꼴등으로 추락했다. 기업이라면 이때 취할 조치가 있다. 신뢰도 추락에 대한 뼈를 깎는 자성이다. 부문 사업장에 대한 엄격한 문책이다. 그래도 안 되면 과감히 퇴출시켜야 한다. 이 원칙을 지켜온 게 다름 아닌 삼성그룹이다. 그런데 축구단에는 철저히 예외인 것 같다. 꼴등으로의 추락을 10여년째 보기만 했다. 축구계, 팬, 시민의 지적에 아무 대응도 없었다. 그러다 진짜 꼴등까지 왔다.

 

이제는 좀 묻고 싶다. 어제 이후 어떤 구상을 갖고 있나. 명문 구단 부활의 꿈은 남았는가. 2부리그 유지에 만족할 생각도 있나. 아니면 28년 축구에서 손 뗄 생각인가. 투자를 강권하는 게 아니다. 방향이라도 듣자는 것이다. 팬과 시민에게 이 정도 권리는 있지 않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