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마약범죄 단속에 적발된 마약사범이 2만2천393명으로 조사 이래 최고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마약범죄 특별수사본부(이하 특수본)는 6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청사에서 회의를 열고 올해 1월부터 10월 사이 단속된 마약사범이 지난해 같은 기간 적발된 1만5천182명에서 47.5% 늘어난 2만2천393명이라고 밝혔다.
올해 마약사범 수가 급증한 이유에 대해 특수본은 밀수·밀매·밀조 등 공급 사범에 대한 단속이 이전보다 활발히 이뤄졌고 각 수사기관이 마약범죄에 대해 보다 엄중하게 대응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적발된 공급 사범은 3천991명이었지만 올해는 7천301명으로 82.9% 늘었다.
아울러 “전체 단속 인원 중 10대가 1천174명, 20대가 6천580명으로 10~20대가 전체 마약사범 중 34.6%(7천754명)를 차지했다”며 젊은 층의 마약 범죄 급증에 대한 우려도 전했다.
마약 사범 증가세를 막기 위해 특수본은 지역별 마약 수사 실무협의체를 강화하고 해외 도피 마약사범의 강제송환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현재 전국에 3개 밖에 없는 중독재활센터를 14개 지역에 추가적으로 배치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대검은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페티딘·펜타닐 등 의료용 마약류의 남용 문제에도 엄정하게 대응하기로 했다.
특히 의료인이 타인에게 불법 처방해 경제적 이익을 얻었거나 ‘셀프 처방’한 뒤 의료 외 목적으로 사용·유통한 경우 초범이라도 사안이 무거우면 구속해 수사하기로 했다.
박영빈 대검 마약조직범죄부장은 “최근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른 의료용 마약류 불법 취급 범죄에 엄정 대응할 것이며 치료 재활 인프라 구축, 국제공조 활성화 등 모든 역량을 총결집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갑식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형사국장도 “검거 인원과 압수량에 있어 이미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마약으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현장에 반영된 결과”라며 “여러 기관과 공조하면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