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세계한인비즈니스 대회' 유치 실패, 전북에 분패

재외동포청, 개최지 전주 결정...일각서 ‘지역균형’ 반영 분석도
市 “4파전 APEC 유치 만전”...전문가 “특색 전략 필요” 제언

인천 남동구 구월동 인천시청 전경. 시 제공
인천 남동구 구월동 인천시청 전경. 시 제공

 

인천시가 내년 ‘제22차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옛 세계한상대회)’ 유치에 실패했다. 지역 안팎에선 이번 유치 실패를 계기로 ‘2025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유치전에는 특색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인천시와 재외동포청 등에 따르면 재외동포청은 이날 운영위원회를 열고 내년 국내에서 열릴 제22차 한인비즈니스대회 개최지를 전라북도(전주시)로 결정했다. 앞서 운영위는 한인비즈니스대회 유치에 나선 인천시와 전북, 제주시 등의 대회 운영 계획과 현장 등을 검토한 뒤, 투표를 통해 이 같이 결정했다.

 

인천시는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지리적 여건과 재외동포청 유치, 전국 첫 국제회의 복합지구인 송도국제도시, 700개 이상 객실이 있는 호텔 등을 강점으로 내세웠지만 전북에 분패했다.

 

전북은 대규모 연회장이 없어 국립무형유산원 광장에서 야외 대회를 치르거나 호텔이 부족해 한옥스테이를 활용하는 상황인데도 유치에 성공했다. 한옥마을 등 전북지역 유·무형 유산과 산업을 연계해 해외 한인 기업인들의 전북 방문 의지를 이끈 것으로 보인다.

 

또 재외동포청이 ‘지역균형’을 반영, 이같이 개최지를 정했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인천시는 이미 지난 2008·2018년 당시 세계한상대회를 치른 반면, 전북은 1번도 유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운영위가 결정한 구체적인 이유까지 정확하게 모르지만, 근소한 차이로 유치에 실패했다”며 “재외동포청이 인천에 온 뒤, 첫 대규모 국내 행사를 유치하지 못해 아쉽다”고 말했다.

 

인천 남동구 구월동 인천시청 전경. 시 제공
인천 남동구 구월동 인천시청 전경. 시 제공

 

인천시는 내년에 이뤄질 외교부의 2025 APEC 정상회의 유치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APEC 유치에 성공하면 당초 인천시가 계산한 한인비즈니스대회 유치 시 얻을 수 있는 경제효과(약 240억원) 보다 배 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상북도 경주시나 제주시와의 3파전에서 최근 엑스포 유치에 실패한 부산시까지 APEC 유치에 뛰어들며 4파전으로 확대, 유치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지역 안팎에선 APEC 유치전에는 인천만의 특색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은 매번 인천공항과 송도컨벤시아 등만 내세워 잇따라 정부 공모사업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기 때문이다.

 

김재호 인하공업전문대학 관광경영학과 교수는 “인천시가 공항과 같은 지리점 이점이나 컨벤션 시설을 비롯한 인프라 등 하드웨어만 강조, 정부 공모에 반복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같은 시설은 부산이나 제주도 갖춘 시설이라, 새로운 것이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APEC 유치에선 인천만의 특색 있는 소프트웨어적 콘텐츠를 보강해야 한다”며 “특히 인천의 역사와 함께 앞으로 세계적인 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 등을 강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APEC 유치는 반드시 이뤄낼 수 있도록 그동안 마련해 놓은 전략을 다시 원점에서 재검토해 보겠다”며 “단점은 보완하고 강점은 더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